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간가스
가스
개스
까스
깨스
뉴스
"
성간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풍으로 날아가는 '우주 돛단배' 시험 비행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말했다. 칼 세이건의 딸이자 천문학자인 사샤 세이건은 "라이트세일 2호는 우주에서
성간
여행을 할 수 있는 방법 중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다"며 "이번 미션이 성공하면 우주여행에서 한계점 중 하나인 연료 문제도 해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추후 임무를 마친 라이트세일 2호는 돛을 다시 ... ...
인류 최장수 탐사선 보이저호
성간
우주서 수명연장 '안간힘'
연합뉴스
l
2019.07.10
'
성간
우주경계탐사선(IBEX)'이 원격 측정한 기존 자료를 보완해주고, 2024년에 발사될 '
성간
우주매핑가속탐사선(IMAP)'의 토대로 활용될 전망이다. 보이저호 운영팀의 에드 스톤은 보도자료를 통해 "보이저호는 이전에 방문하지 못했던 곳을 탐사 중이며 따라서 하루하루가 발견의 연속이다"면서 ... ...
"오무아무아는 인공물 아닌 우주의 자연적 산물"
연합뉴스
l
2019.07.02
했다. 연구팀은 또 오무아무아가 처음으로 관측되기는 했지만, 태양계를 찾아온 첫
성간
천체라는 데 대해서는 의문을 갖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 때문에 칠레 중부 체로 파촌에 건설되고 있는 구경 8.4m 짜리 차세대 망원경인 '대형 시놉티 관측 망원경(LSST)'이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 ...
‘우리은하’ 가장자리 별 태어나는 영역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성간
티끌로 인해 천체에서 방출된 빛이 흡수되거나 산란해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
성간
소광’ 현상 때문이다. 또 넓은 영역 중 일부에 대해서만 저해상도 관측이 이뤄져 자세한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대덕전파천문대.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연구진은 지난 2015년 수신기 성능을 개선한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
과학동아
l
2019.03.10
스타샷’이라는 장기적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을 출발시켰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성간
여행을 현실로 구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만일 이것이 성공한다면 지금 살아 있는 사람들이 세상을 뜨기 전에 프록시마 b로 탐사선을 보낼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Q. 지금으로부터 50년 전 인류가 최초로 달에 ... ...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않는다. 저주파 전파를 분석하면 별이 소멸하는 과정과 별과 별 사이에 있는 다양한
성간
물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구와 직접 교신이 가능하지 않은 천체를 탐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의미도 있다. 달 뒷면 탐사가 까다로운 이유는 지구와 완전히 단절된 만큼 지상과 직접 ... ...
NASA 뉴호라이즌스, 태양계 가장 바깥 소행성 접근
2019.01.02
멀어져 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전에도 NASA의 무인탐사선인 보이저 1, 2호가 태양계 밖
성간
공간에 다다른 사례가 있었지만, 이들은 훨씬 가까운 행성인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을 각각 방문한 뒤 태양계 외곽 소행성에는 접근하지 못한 채 태양계를 벗어났다. 뉴호라이즌스호는 2006년 1월 1 ... ...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내년 9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세계 과학자들은 톈옌을 이용해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
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 등을 관측할 예정이다. 한편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필리핀 루손섬 등 동남아시아 섬 지역에서 고대 인류의 기원을 밝혀줄 다양한 화석을 많이 ... ...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왔다. 톈옌은 내년부터 ‘정체불명의 우주 굉음’으로도 불리는 고속전파폭발(FRB)과
성간
물질에서 나오는 희미한 신호를 관측하게 된다. 한편 내년에 천문학자들은 미국 하와이 마우나키산에 건설될 예정인 ‘30미터망원경’ 프로젝트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중국의 구형 전파망원경(FAST) ... ...
보이저2호, 41년 날아 인터스텔라로 진입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NASA) 제공 미국 탐사선 보이저2호가 인류가 만든 물체 중에서 두 번째로 심(
성간
)우주에 도달했다. 총 41년간 297억7200만㎞에 이르는 거리를 날아 이제는 태양의 영향을 받지 않는 머나먼 우주 공간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0일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