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간가스
가스
개스
까스
깨스
뉴스
"
성간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1990년 밸런타인데이, ‘보이저 1호’가 준 선물
2015.02.12
2013년 9월 NASA는 보이저 1호가 태양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인터스텔라 스페이스(
성간
우주)’에 진입했다고 공식 발표했는데요. 한마디로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인공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이저 1호는 밸런타인데이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혹시 ‘Pale Blue Dot(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말 ... ...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
과학동아
l
2015.02.11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별이 탄생하는 순간 : 허블우주망원경이 포착한 독수리성운의
성간
물질과 기체는 별이 탄생하는 중간 과정이다. ‘창조의 기둥’ 끝의 푸른 빛은 기둥 위에 있는 큰 별들에 의해 물질이 가열된 결과다. 아래 검은 기둥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식은 기체다. - ESA 제공 NASA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이합집산하면서 태양과 행성들이 형성될 때 태양에 가까울수록 온도가 높았다. 그 결과
성간
공간에서 얼음을 이루던 물분자와 성운의 수소분자 사이에 수소원자의 교환반응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물분자의 D/H비율이 낮아졌다는 것. 태양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이 반응의 빈도가 떨어졌기 ... ...
은하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01.28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
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
물질이 점점 옅어진다. 파란색일수록 자기장 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 ...
영화 '인터스텔라' 속 과학이야기
과학동아천문대
l
2014.12.04
영화로 구현한 것이다. 기존에 제시된 ‘블랙홀’이나 ‘슈바르츠실트 웜홀’을 이용한
성간
여행은 불가능하지만, 논문에서 제시된 웜홀은 수학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영화는 여기서 나온 공식을 토대로 시뮬레이션 한 것이다. 과학동아천문대 - 과학동아천문대 제공 영화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클 수 있냐는 것이다. 즉 별의 질량 상한선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에 대한 논평이다.
성간
기체와 먼지가 중력수축으로 모여 태어나는 별은 그 질량에 따라 삶의 궤적(별의 진화라고 부른다)이 극적으로 다르다. 보통 포유동물은 몸집이 클수록 오래 살지만 별의 경우 덩치, 정확히는 질량이 클수록 ... ...
빅뱅 후 6~7억 년 뒤 우주배경복사 관측 성공
2014.11.07
근적외선 카메라를 작년 11월 발사한 과학기술위성3호에 탑재하고 우주배경복사와 우주
성간
물질 분포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이대희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우주배경복사를 처음 발견한 것은 1965년이지만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이번 연구는 근적외선 영역의 우주배경복사를 ... ...
우주 공간에서 유기분자 찾아냈다
2014.09.29
우주 공간에서 온 운석에서는 생체 분자인 아미노산이 종종 발견된다. 1969년 오스트레일리아에 떨어진 ‘머치슨 운석’이 대표적인 예다. 알마 전파 ... “외계 행성에는 아마도 이번에 발견한 이소-프로필시아나이드 외에도 이런 유기분자가
성간
물질에 풍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
우리은하 자기장 첫 관측
과학동아
l
2014.05.07
캐나다 연구팀이 밝혀낸 우리 은하의 자기장 지도. - ESA, PLANCK 제공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태양풍과 우주방사선을 막아준다. 이 과 ... 보니 그 세기가 지구의 10만 분의 1에 불과하다”면서도 “미약한 은하자기장 때문에
성간
물질들이 별로 탄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 ...
태양계 벗어나 외계인과 조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수 있을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무인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
공간에 들어섰다”고 올해 9월 12일 공식 발표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책임자 에드 스톤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도 “보이저 1호가 태양권을 벗어났다”며 “인류의 역사적인 도약의 순간”이라고 감회를 ... ...
이전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