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려견 실명 유발 불치병, 유전자 검사로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검사 키트를 통해 개의 입 안에서 채취한 유전자 샘플을 실험실로 보내면 손쉽게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 여부를 알려주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스탠버리 교수는 "PRA를 앓는 개가 시력을 잃기 시작하면 치료법이 없어 완전히 실명하게 된다"며 "이제 DNA 검사를 통해 PRA를 가진 ... ...
혈액 내 암
돌연변이
유전자, 초고민감도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민영 선임연구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민감도로 다양한 암
돌연변이
의 포괄적 검출이 가능하다"며 "암 조기진단 및 치료·재발 모니터링을 통해 암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doi.org/10.1002/smsc.20240010 ... ...
[동물do감] 가재는 왜 선명한 빨간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B: 생물과학저널’에 발표했다. 진화론에 따르면 동물은 생존에 이득이 되는 유전적
돌연변이
는 유지하고 유익하지 않은 변이는 소멸시키는 진화 과정을 거친다.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이 요인 중 하나는 색깔이다. 과학자들은 눈에 띄는 선명하고 밝은 색깔이 환경에 대한 적응이나 성적 신호 ... ...
0.07%의 세포
돌연변이
만으로 뇌전증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RNA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예정이다. 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극미량의 체성
돌연변이
라도 뇌의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졌고 이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 등의 유전적 진단과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ˮ라고 말했다 ... ...
"최후의 매머드 멸종, 근친번식 탓 아냐"...기존 학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돌연변이
가 일어났다는 이야기다. 한 개체가 전체 종에 영향을 줄 만큼의 극도로 해로운
돌연변이
를 가지고 있다면 종 전체가 살아남기 어렵다. 연구진은 "랑겔 섬에 살았던 매머드의 유전체에는 근친교배의 흔적이 발견됐고 유전적 다양성도 낮았다"며 "그렇다고 이같은 특성이 멸종의 결정적인 ... ...
더 안전하게, 광범위하게...'올인원' 유전자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엉뚱한 부분을 잘라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표적에서 벗어난 부분을 자르고 교정하면
돌연변이
가 생기거나 암 같은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캐스9 외에 다양한 효소를 개발하거나 캐스9의 오작동을 줄이려는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배 교수는 "크리스퍼 ... ...
조류독감, 제2의 팬데믹 될 수도…"확산 위한 진화 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사람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퍼질 수 있는
돌연변이
가 일어날 수 있다. 일부 H5N1
돌연변이
는 이미 오셀타미비르와 같은 항바이러스제에 내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팬데믹 발생 시에는 충분한 백신과 항바이러스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바이러스의 성격과 유입 경로 등에 대한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인실리코 메디신은 지난 2월 IBM의 16큐비트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
세포 'KRAS' 억제제를 찾는 데 도움을 줬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이언스는 "구글과 IBM 등의 과학자들이 곧 수십만 큐비트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면서 양자컴퓨터 기술이 ... ...
인체 내부서 완벽하게 성장하는 이식용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때 3개월 동안 제기능을 다했다. 정상적인 피부처럼 털도 자라났다. 연구팀은 이
돌연변이
쥐 배아에 인간 피부 세포를 주입했을 때 표피 구조와 조직을 완벽하게 모방한 인간 피부가 성장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모낭 등 피부의 구조를 완벽히 구현한 이식용 피부가 ... ...
말라리아·소아마비 연구 지평 넓힌 여성 과학자 5명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브라질 상파울루대 생화학 교수다. 북미 지역에서는 소아 뇌종양 원인으로 히스톤
돌연변이
를 최초로 발견함으로써 암 연구 분야에 기여한 나다 자바도 캐나다 맥길대 인류유전학 교수가 수상했다.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선 이온과 당의 세포막 연구를 통해 뇌전증, 부정맥 등 질병 치료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