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종
뉴스
"
돌연변이
"(으)로 총 1,016건 검색되었습니다.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돌연변이
’ 환자에서의 오시머티닙 효과를 최초로 입증했으며, 이를 근거로 ‘드문 EGFR
돌연변이
’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치료 시 오시머티닙 사용이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에 등재되기도 했다. 현재 대한폐암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안 교수는 세계폐암연구협회의 공식 학회지인 ... ...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암세포의 증식을 81.8%로 감소시키는 데 성공했다. 피부암 세포주의 ‘BRAF 유전자’의
돌연변이
를 표적으로 삼아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서만 유전자 절단을 유도했다. 세포 증식을 69.7% 감소시켜 암 표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를 이끈 김경미 교수는 “eCas12f1에 ... ...
'무도병' 헌팅턴병 치료하는 샤페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돕는다. 먼저 연구팀은 샤페론 중 하나인 'PEX19'에 무작위
돌연변이
를 유도해 수십만 개의 변이 라이브러리를 제작했다. 변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만든 변이체들을 효모 독성 기반 스크리닝 기법으로 선별해 헌팅틴 단백질의 독성을 억제하는 변이 샤페론 PEX19-FV를 ... ...
손상된 DNA 복제 재개 시점 조절 단백질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돌연변이
를 일으킨 세포에서는 Ub-PCNA의 탈유비퀴틴화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일어났다.
돌연변이
세포는 Ub-PCNA의 양이 줄고 스트레스 상황에 취약해져 세포 사멸률이 높아졌다. BAZ1B가 ATAD5와 상호작용해 탈유비퀴틴화 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한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복제 과정에서 DNA 손상 부위를 ... ...
의도치 않게 '춤 추는' 희귀질환 헌팅턴병 새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17
뇌질환이다. 진단에서 사망에 이르기까지 15~20년 정도가 소요된다. 헌팅턴 유전자(HTT)
돌연변이
가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자는 DNA 상에서 시토신(C), 아데닌(A), 구아닌(G)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는 'CAG' 서열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난다. 정상인의 CAG 서열의 반복 횟수는 10번에서 35번 정도지만 ... ...
노벨상 '유전자가위' 유방암 진단 정확도 '확'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유방암을 잡아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BRCA 검사는 유전자
돌연변이
의 영향이 모호했었는데 앞으로 환자들은 이전보다 정확하게 조기에 유방암‧난소암 위험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美 최초 H5N1 조류독감 사망자 발생…위험성 의견 분분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동시에 감염되면 두 바이러스 간 상호작용으로 H5N1이 좀 더 효율적으로 전파될 수 있는
돌연변이
가 생길 기회가 늘어난다. H5N1은 원래 조류에게만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였지만 1997년 홍콩에서 최초로 인간 또한 감염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최근 1년간은 젖소에서 감염이 퍼졌다. 미국 ... ...
변종 조류인플루엔자 위협, 탄소배출량 정점...2025년 과학계 화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실험 결과도 기대 중이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가 지속적으로 포유류 등으로 확산되면
돌연변이
를 일으키며 사람 간 전파 능력이 생길 가능성도 있어 경계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인류 온실가스 최대 배출량 기록 전망 과학자들은 올해를 기후변화 연구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 ... ...
박테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새 항생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확인됐다.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은 분자 구조 및 메커니즘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고
돌연변이
실험은 단백질 기능이나 구조를 연구하는 데 쓰인다. 연구팀은 PssA는 활성 상태일 때 막에 결합해 인지질을 합성하고 잠재 상태에서는 막에서 떨어져 세포질에 머물면서 합성을 지연시킨다는 사실을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겨울방학 특별 과학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국민투표 결과 전체 8682표 중 1131표를 얻은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민감도 혈액 내 암
돌연변이
유전자 검출 기술'이 1위를 차지했다. 체액 기반 비침습 암 조기진단 소재 기술이 1056표를 획득하며 2위를 차지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