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
대뇌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뇌 연결이 공감능력 만든다…자폐, 사이코패스 연구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상호간 연결된 뇌 신경회로가 공감 기능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 또
대뇌
피질-편도체 뇌파의 근원이 해마 세타파임도 확인됐다. 뇌의 해마 영역에서 관찰되는 세타파는 인지, 정서, 선천적 공포 불안장애 등 다양한 뇌 기능과 연관이 있다. 광유전학 기법으로 해마 세타파를 억제하자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자신이 부른 노래로부터 얻어진 청각 정보들을 다시 음성운동회로에 전달하는 ‘앞전
대뇌
회로(anterior forebrain pathway; AFP)’로 크게 나뉜다. 노래 학습 초기 중에 관찰되는 노래의 다양성과 오류들은 AFP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 실제로 뇌 속에서는 학습과정 중에 두 ... ...
인간을 원숭이와 구분케 하는 특정 뇌세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전전두엽 영역의 세포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지난 8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전전두엽은
대뇌
에 가장 앞쪽에 있는 뇌의 한 층(피질)이다. 오직 영장류만이 갖고 있는 영역으로 감정과 의식 활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뇌는 감각정보를 처리하는 ... ...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
2022.10.29
늘리고, 지방만 감소시키는 추세다.” Q. 비만 치료제가 어떤 도움이 될까. “
대뇌
시상하부 식욕 중추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강화시킨다. 또한 쾌락적 식욕 중추에도 작용해 배불러도 계속 먹던 상황을 막는다. 크게 3개월 이내로 사용이 제한되는 단기 약물과 장기간 복용 가능한 ... ...
머릿속 상상으로 작동하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0.24
‘
대뇌
피질’에 주목했다. 장상진 박사과정 연구원은 “신경세포체가 모여 있는
대뇌
피질은 어느 정도 정확한 상상 뇌 신호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정한 부위”라며 “두피 밖에서 얻은 상상 뇌신호보다 훨씬 더 정확하다”고 말했다. 장 박사과정 연구원은 경기장 바깥에서는 사람들의 ... ...
뇌질환‧유산‧자폐·비만...대기오염 위협 어디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0.19
진행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예를 들어 대기오염에 장시간 노출된 사람은
대뇌
피질(뇌를 덮고 있는 얇은 막)의 두께가 얇아지지만 그 과정과 이러한 변형이 실제 인지능력 저하로 이어지는지에 대해선 알려지지 않았다”며 “대기오염이 퇴행성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아직 ... ...
SF 속 뇌 이식 실현되나…인간의 뇌 오가노이드 이식한 쥐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14
설명이다. 연구팀이 이식한 인간의 뇌 오가노이드는 감각정보를 수용하는 부위인
대뇌
의 체감각 피질에 통합돼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했다. 인간의 세포가 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쥐에게 가해진 자극이 뇌 오가노이드로 전달되기도 했다. 연구팀이 쥐의 ... ...
망막 두께로 치매 위험 예측한다...신경섬유층 얇으면 5배↑
동아사이언스
l
2022.09.26
우리 눈의 가장 안쪽에 있는 신경 세포의 막이다. 빛을 감지하고 시각정보를 처리해
대뇌
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망막은 신체 노화가 진행될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시신경의 기능 저하의 원인으로 꼽힌다. 앞서 학계에선 이같은 망막층 두께 감소와 인지기능 저하 사이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 ...
"수면장애는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해마에 기억이 단기기억으로 임시 저장됐다가 밤에 깊은 잠을 자는 동안 장기기억화되며
대뇌
피질로 전파된다. 실제 여러 역학조사 연구에서 잠을 잘 자는 그룹과 못 자는 그룹의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2006년 미국 브리검 여성병원과 하버드대 의대는 70~81세 여성 노인을 ... ...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 뇌가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렇게 활성화된 단백질이 인지 기능에 관여하는
대뇌
피질 영역에서 뉴런으로 발전하는 신경세포 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뉴런은 뇌와 감각기관이 명령을 주고받는 과정이 일어나는 신경세포다. 실제 TKTL1을 생쥐와 흰 족제비에 주입하자 더 많은 뉴런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