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뉴스
"조현병, 마음의 병 아닌 생물학적 장애" 근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필요한 재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뇌에 구조적 결함이 생기는 상황에 비유됐다. 특히
대뇌
피질 상층부에 있어야 하는 신경세포들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AS3MTd2d3 단백질이 신경줄기세포의 중심체에 비정상적으로 달라붙어 세포 분열을 교란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중심체는 ... ...
인간이 지금껏 보지 못하는 색 구현…"색맹 치료에 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빛이 눈에 들어오면 광수용체가 이를 흡수하고 세포들이 생성한 신호는 망막을 거쳐
대뇌
의 시각피질에서 처리된다. 이처럼 사람은 눈과 뇌의 상호작용으로 색채를 식별한다. 연구팀은 중간 파장에 민감한 M-원뿔세포를 자극할 경우 S-원뿔세포와 L-원뿔세포를 어떻게 활성화할지 알아보고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밀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흥미로운 패턴이 드러났다. 뇌 진화에서 늦게 나타난
대뇌
피질이 오래된 영역에 비해 미토콘드리아 밀도가 높았고 더 효율적인 에너지 생산에 특화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를 이끈 마틴 피카르 교수는 "에너지가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며 ... ...
환각제 LSD, 원자 2개 바꾸니 조현병 치료제 후보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원자 2개를 바꾼 합성 분자인 JRT를 만들었다.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JRT는 LSD처럼
대뇌
피질에서 수상돌기 척추 밀도를 증가시키고 시냅스 생성을 촉진했지만 쥐에게 LSD를 투여했을 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환각과 유사한 행동은 없었다. 일반적으로 LSD를 투여했을 때 촉진되는 조현병 관련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시조새와 현대 새의 중간, 조류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24.11.16
운동과 균형 감각에 관여하는 소뇌의 크기는 작았으며 고차원적 인지 기능을 수행하는
대뇌
는 약간 큰 편에 속했다. 그러면서도 현대 조류의 크고 둥근 두개골에 이빨이 없고 눈이 큰 외형적 특징을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나바오르니스 헤스티아에의 두개골은 현대 조류의 독특한 두뇌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구조로 이뤄져 있다. 좌우에 한 쌍으로 존재하는 시상하부는 11개의 핵을 갖고 있다.
대뇌
와 뇌줄기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됐다. 시상하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뇌하수체를 통해 신경계를 내분비계와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대사과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실시간으로 잘 맡지 못한다. 촉각도 예외는 아니다. 특정 신체 부위의 감각에 연결된
대뇌
감각피질의 넓이와 비례해 만든 인체 모형인 ‘감각 호문쿨루스’를 보면 얼굴과 손은 엄청나게 크지만 몸과 팔다리는 왜소하다. 신체 부위에 따른 촉각의 민감도를 떠올리면 아주 이상한 그림은 아니다.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자신이 부른 노래로부터 얻어진 청각 정보들을 다시 음성운동회로에 전달하는 ‘앞전
대뇌
회로(anterior forebrain pathway; AFP)’로 크게 나뉜다. 노래 학습 초기 중에 관찰되는 노래의 다양성과 오류들은 AFP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 실제로 뇌 속에서는 학습과정 중에 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위험이 있다. 게다가 딱딱한 칩 때문에 뇌조직이 손상될 우려도 있다. 조 교수는 “
대뇌
피질의 강도는 두부 정도인데, 여기에 금속 바늘을 박아놓은 격”이라며, “실험 대상이 활동하면서 두뇌가 흔들리면 바늘 주변 뇌 부위에 손상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뇌손상은 2차 문제를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미친다고 발표했습니다. 실험 참가자 11명이 껌을 씹은 결과, 1분에 110회씩 씹었을 경우
대뇌
전두엽 근처의 산소량이 두 배 가까이 증가했어요. 뇌의 산소량이 많아졌다는 건, 뇌세포가 활성화되면서 근처의 혈액이 더 빠르게 흘러갔다는 의미예요. 다만 연구팀은 “계산 능력이 향상될 정도로 인지 ... ...
[가상 인터뷰] 어린 시절 학대 경험이 정신질환 일으키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7호
부위로, 시냅스가 없으면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하기 어려워져. 연구팀은 별 아교 세포가
대뇌
피질에 존재하는 특정 신경 세포의 시냅스를없애 신경 회로망에 변화가 생기고, 이에 따라 어른이 되어 정신질환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어. 사람에게도 적용되는 거야? 연구팀은 세포를 배양해 ... ...
[질문하면 답해ZOOM] 눈뜨고 재채기를 할 수 있을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6호
눈이 저절로 감겨버리기 때문이지요. 반사는 외부 자극이 생겼을 때 학습 등을 담당하는
대뇌
를 거치지 않고 우리 몸이 바로 반응하는 것이에요. 눈앞으로 무언가 날아오는 것을 보고 자신도 모르게 눈을 감아버리는 것도 반사입니다. 코를 간지럽히는 자극이 코 점막에 있는 신경으로 전달되면, 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비교는 사춘기 지구인들을 예민하게 만든다.
기사
l
20241114
감정 기복이 심해지기도 한다. 드 이유는 뇌가 폭팔적으로 변화를 겪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사춘기에는 감정처리를 담당하는
대뇌
변연계가 급격하게 발달하고, 자기 억제나 판단력등 이성적 사고를 담당하는 전두엽은 비교적 더디게 발달한다. 따라서 뇌가 감정을 예민하게 의시하는것에 비해 그것을 통제할 힘이 부족한것이다. 분노를 주체할수없을땐 ...
잠의 여러 단계와 잠에 대한 사실들
기사
l
20240316
빠르게 일어나는 수면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그 렘수면에서 꿈을 꾸죠, 또 렘 수면은 빠른 안구운동이 렘수면 기간안에 발생하면서
대뇌
피질의 활동이 늘어나고 뇌의 기억저장 및 학습 횔동이 이루어 진다합니다.그래서 렘 수면이 부족하면 뇌의 학습 및 기억저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합니다. 잠은 이 여러단계를 4-5번 1시간 30분동안 반복하여 ...
^^ 의사 되고 싶어서 이걸 썼네요
포스팅
l
20240302
대뇌
피질이 뭔지 알게 됬네요 ...
자각몽이란?
기사
l
20230314
나타내는 렘수면 단계 때 4~5번 정도 꿉니다. - 수면의 여러 단계 - 하지만 이렇게 많이 꿈을 꾸어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뇌
피질의 90%이상을 차지하고 감각 지각, 고도의 정신작용, 학습 등에 관여하는 신피질과 기억 저장에 관여하는 하는 해마 사이에 연결이 약해져서 기억이 나지 않는 것입니다. 이런 맥락으로 꿈을 꿀 때는 ...
멀미는 왜 할까?
기사
l
20230227
수단을 타면 멀미가 날까요? 결과부터 말 하자면 멀미는 납니다. 멀미는 전정신경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에요. 새로운 전보는
대뇌
로 전달이 되는데, 여기에서 그 정보는 평형 기관이 과거에서 겪은 경험과 비교됩니다. 몸을 움직이거나 차를 타고 이동 할때 평형 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여러 감각이 예상되는 것과 다르다면 감각들이 통일 되지 못하고 서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