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명
공감
동조
뉴스
"
공진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전문점 들어서면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충전
2015.07.07
있었다. 임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5월 자체 개발한 다이폴코일
공진
방식(DCRS)을 응용해 새롭게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기술을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어떤 방향에서도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험 결과 1㎡에 평면형 송신기 1대를 설치하면 스마트폰에 1와트(W ... ...
‘2015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 선정
2015.06.30
첫걸음을 내딛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광결정을 이용해 아주 작은 레이저
공진
기(원하는 빛의 공명을 만드는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어 세계 최고 실력자로 꼽힌다. 이 교수는 “KAIST에서 훌륭한 학생들과 연구한 덕분에 큰 상을 받을 수 있었다”며 제자들에게 공을 돌렸다. 대한민국 ... ...
50배 더 또렷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나온다
2015.05.25
크기 구멍을 뚫고 그중에서 특정 파장과 세기의 빛만을 선택해 통과시키도록 만들었다.
공진
기라는 진열대에 여러 가지 색의 빛을 펼쳐 놓은 후, 나노 구멍을 이용해 그 중 한 개를 골라서 사용하는 식이다. 이 교수팀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존 수십에서 수백 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전기자동차는 전송거리를 늘리는 대신 대용량 전기를 전달하기 유리하도록 ‘자기
공진
형상화기술(SMFIR)’을 개발했다. KAIST는 한국철도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해 시속 300km급 차세대 고속열차에 이 기술을 적용해 테스트를 마쳤다. 조동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자연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또 인공구조물의 내부형태를 변화시켜 신호의 증폭률과
공진
주파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렇게 키운 음파를 즉시 전기신호로 바꿔 송·수신하면 고감도 마이크나 엠프 같은 음향 증폭장치 없이 즉시 소리를 녹음한 뒤 전송할 수 있다. 작은 장치로 ... ...
테크노마트 진동과 인간의 본능
2015.02.08
왜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보조를 맞춰 걷게 됐으며, 다리가 흔들리고 있음에도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진동수로 보행을 계속했는지 논문에서 설명하려고 했다. 영국 런던에 위치한 밀레니엄 브릿지. - Jan Kameníček 제공 연구진은 밀레니엄 다리의 구조가 강철 케이블로 연결된 트레드밀(러닝머신 ... ...
32일 된 태아가 품은 1억 년 진화의 비밀
2014.11.09
모든 생명체가 태고적 우주의 리듬을 품고 있는 소우주이고, 인간도 본디 대우주와
공진
하는 ‘생명 기억’을 갖추고 있다고 믿는, 다소 철학적 사상을 편다. 1987년 61세의 나이로 그가 불현듯 세상을 떠나며 남긴 마지막 작품 ‘태아의 세계’의 번역판이 이번에 국내에 번역, 출간된 것이다. 이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
과학동아
l
2014.04.18
100만 Hz(헤르츠)로 높아 효율성이 떨어졌다. 임 교수팀은 CMRS 대신에 ‘다이폴 코일
공진
방식(DCRS)’을 시도해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했다. DCRS는 기다란 막대형의 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CMRS에서 사용하는 원형 코일과 달리 100배만 증폭시켜도 전송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 ...
슈퍼박테리아 잡는 '쎈 놈' 온다
과학동아
l
2014.04.02
또 평면이 매끄러운 만큼 표면적이 좁아 민감도가 낮고, 작은 분자가 탐침에 붙었을 때는
공진
주파수의 크기 변화도 작아 ‘물질이 붙었다’는 사실만 알 뿐 어떤 물질이 붙었는지는 확인이 어려웠다. 연구팀은 캔틸레버의 표면에 울퉁불퉁한 다공성 층을 만들어 기존에는 검출하기 어려웠던 아주 ... ...
생물학의 역사를 바꾼 X선 분광기술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3으로 유입된 신호는 포트 1로만 향했다. 알루 교수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던 공기가
공진
구멍의 강력한 울림을 만난 것이 한쪽 방향으로만 소리 신호를 전달하게 된 원리”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단방향 통신기기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