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명
공감
동조
뉴스
"
공진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음파 센서 성능 3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때(파란 원)에 비해 출력이 3배 이상 증폭됨을 확인했다. -서울대 제공 김 교수는 “
공진
기를 붙이면 센서가 부착된 주변의 기계적 저항을 사실상 0으로 만들 수 있다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며 “이 기술은 사물인터넷 핵심 기술인 센서 기술에 바로 접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시간 기계 진단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한계 값이 개선돼 분해능이 좋아진다. 연구진은 음향 메타렌즈 내부에서 두 번의
공진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규명하고 기존의 보다 회절한계값이 4배 향상된 메타물질을 제작했다. 이를 이용해 두께 변화가 필요없는 단일 렌즈로 4배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결국 지문에 ... ...
국내연구팀, 큐비트 정보처리 개선하는 물질 현상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않에 남긴 뒤 빠져나가는 데, 순식간에 수많은 원자를 이와 같이 통과시켰다. 그 결과
공진
기 내 먼저 지나간 원자가 남긴 개별 광자가 뒤에 들어 온 원자가 내뿜는 광자들과 물리적인 간섭 현상을 일으켜 초방사 현상을 일으켰다. 김 박사는 “큐비트를 통한 정보는 빛이 매개한다”며 “원자들이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원인은 조용히 돌아가는 팬이 만들어내는 초저주파였습니다. 팬은 사람의 눈에
공진
을 일으키는 18.98㎐의 초저주파를 발생시켰습니다. 하트퍼드셔대학의 심리학자 리차드 와이즈만은 현대 음악 작품에 초저주파 음원을 적용한 뒤 관객에게 틀어줬습니다. 그리고 음악에 대한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 ...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
과학동아
l
2017.09.30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주요 위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진
주기에도 수학적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중 하나인 ‘미마스’가 토성 주위를 2바퀴 돌 때마다 ‘테티스’는 1바퀴를 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가 2바퀴를 돌 때 ‘디오네’는 1바퀴를 ... ...
[카드뉴스]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6
차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큰 충격음의 경우엔 특정주파수 대역에서 공기층에
공진
이 일어나 오히려 소음이 더 커지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바닥 슬래브와 천장 구조 사이에 흡음재나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막는 절연용 앵커를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천장의 진동이 바닥으로 바로 전달되지 ... ...
SF영화의 ‘레이저 무기’, 한 걸음 더 현실로!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제어해 원하는 방향으로 쏘아 보내기가 결코 쉽지 않기 때문이다. 레이저 무기는
공진
장치에서 나온 레이저를 반사경으로 제어해 발사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해 반사경에 변형이 일어나면 조준이 벗어나는 원인이 된다. 레이저 광선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려면 기후에 따른 대기의 ... ...
원전 안전, 지진 규모보다 땅의 순간적 움직임에 좌우
동아사이언스
l
2016.12.02
따라 피해가 달라지기도 한다. 단단한 암반에서 발생한 지진은 주파수가 높아 건축물과
공진
을 적게 일으킨다.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책임연구원은 “경주 지진도 주파수가 높아 건축물에 피해가 거의 없었다”며 “만일 경주 지진과 유사한 지진이 원전 근처에서 발생했더라도 ... ...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5
의한 진동과 다리 자체의 진동이 공명하며 증폭된 ‘
공진
’ 사례로 잘못 알려져 있는데,
공진
이 아니라 단순히 공기 소용돌이가 다리를 심하게 흔들어 무너졌다는 설이 더 유력하다). 공기 소용돌이의 일종인 ‘카르만 소용돌이’는 균일하게 흐르는 유체 속에 물체를 넣었을 때 유체가 물체 좌우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같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다이폴코일
공진
방식은 추가적인
공진
코일 없이 수 m까지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다. 즉, 환경에 덜 취약하면서도 멀리까지 전력을 보낼 수 있다. 임 교수팀은 이 방식으로 2014년 3월, 7m 떨어진 수신기에 10W의 전력을 전송하는 실험에 처음 ... ...
이전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