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리"(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도는 우리땅♪ 꿈에 그리던 독도에 발을 딛다!기사 l20200905
- 눈에 볼 수있는 연대 사진이에요. '외교부 독도'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이 외에도 독도에 관한 15가지 일문일답을 통해 독도가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인 이유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이애할 수 있어요. https://dokdo.mofa.go.kr/kor/dokdo/faq.jsp 독도는 역사성과 더불어 자연과학적 학술 ...
- 제가 강추 드리는 재밌는 역사 프로그램!!!포스팅 l20200901
- 재밌어요~^^ 역사 안 좋아해도 빠지게 됩니당또, 설민석의 책 읽어드립니다도 보는데 책으로 만나는 역사가 재밌더라구요!!!! 특히 ‘지리의 힘’ 편 재밌었어요! 제가 설민석 쌤 팬이라성, 너무 설민석 역사 프로그램만 골랐나 생각들지만 너무 유익하고 재밌게 설명해주시고 제가 역사를 좋아하게 만든 계기가 이 분이라서용~ TMI일 수 있으니까 그만 ...
- 독도는 우리 땅기사 l20200804
- 독도가 보인다고 나와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주장은 울릉도에서 보이는 섬은 '죽도' 라는 섬도 있으므로 죽도가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나온 독도이고, 독도는 일본의 영토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맑은 날' 입니다. 죽도는 날씨가 흐리건 맑건 다 보입니다. 그러나 독도는 오직 맑은 날에만 보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아주 중요한 ...
- 인도에서 만든 숫자, 아라비아 숫자라고 불리게 되다.기사 l20200613
- 숫자 등과 같이 복잡하지 않고 간단하게 쓸 수 있습니다. 또 계산이 매우 편리해 좋았습니다. 계산이 편리해진 이유는 일의 지리, 백의 자리 등 자리를 나타낼 수 있어서 입니다. 그런데 이런 훌륭한 숫자는 인도에서 만들었는데 왜 아라비아 숫자라고 불릴까요? 아라비아 숫자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유럽에 이런 숫자를 전한건 아라비아 상인들이기 ...
- 고양이 알아보기 10탄 쉬어가기! 대형 고양잇과기사 l20200526
- 그러면 대형 고양잇과에는 왜 고양이가 포함되지 않을까요? 대형 고양잇과 동물들의 특징은 다 비슷해요. 이유는 형태, 생리, 지리, DNA, 행동 등이 같은 동물끼리 묶어서 만든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 같은 성질을 가질 수밖에 없지요. 대형 고양잇과는 식육목입니다. 척추동물 포유강에 한 목이며 육식을 하는 동물 이라고 해요. 그리고 ...
- 전설속 동물!(참고:쓰는데 힘들었어요)1탄포스팅 l20200411
- 시대에 나타난다고 한다. 또 화재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神獸)로 여겨져, 경복궁 앞에 한 쌍의 해태상이 자리잡고 있다. 풍수지리설에 비추어 볼 때, 서울은 나라의 수도로 더없이 좋은 곳이기는 하지만, 딱 한 가지 불에 약하다는 약점이 있다고 한다. 특히나 관악산이 유달리 불의 기운이 강한 산인데, 경복궁 뒤의 북악산이 관악산보다 낮아서 그 기 ...
- 세잘모 - 200411 - 4탐사기록 l20200411
- 오늘 장태산 휴양림에서 본 다른 들꽃들 사진도 공유해요~^^산에선 인터넷이 잘 안되어 내려와서 올려요~^^위에서부터 순서대로지리개별꽃돌단풍 꽃마리산괴불주머니큰개별꽃고깔제비꽃여요~ 다음 꽃검색해봤어요~^^ ...
- who? 책 봉준호 감독 !! 읽었습니다. / 추천기사 l20200401
-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렇게 봉준호 감독이 [ 백색인]을 시작으로 [프레임 속의 기억] , [포도씨앗의 사랑] , [지리멸렬] , [플란다스의 개] , [살인의 추억] , [더 리버] , [괴물] , [마더] , [설국열차] , [옥자] 등을 만들고 마지막으로 [기생충] 을 만들고 상을 타게 되는 이야기 입니다. 3. ...
- 울산 봉수대 여행!기사 l20200322
- 주전 봉수대와 천내 봉수대입니다. 1.주전봉수대 직경 5m,높이 6m의 봉수대로 해발 192m의 봉대산 정상에 위치해있습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남목봉화로 기록되어있고,북쪽 유등포봉화까지 28리(약 10km)떨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봉수대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남동해안 봉수대의 모습을 알수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 1월의 BOOK소리: 말하는 나무들기사 l20200304
- 질병으로 15,000명, 하부 호흡기 질환으로 6,000명이 더 사망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도노번은 물푸레나무의 감염사가 특정한 지리적 패턴에 따라 발생했고, 심혈관 질환과 하부 호흡기 질환 증가 역시 비슷한 패턴을 따랐다고 합니다. 도노번의 연구 결과는 비록 나무 수가 적어서 사람들이 건강 문제를 겪은 것인지 명확히 알 수는 없지만,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