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리"(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것은 무엇일까?기사 l20161117
- 이것은 저의 살화입니다. "으악! 벌이 나타났다!" 고요한 숲 속에서 비명을 지리며 달려오는 친구가 벌을 보았다고 하더군요. 곤충을 무지하게 좋아하였던 나를 앞장 세워 놓고 고요히 숲속으로 우리는 들어갔습니다. '저만치서 웡웡거리는 벌? 저게 무엇일까?' 그 당시 저는 등에를 몰랐기 때문에 기이한 생명체라고 생각했습니다. '눈은 파리, ...
- 묘지가 3개인 장군을 찾아서기사 l20161007
- 셋 중 어디계실까?'라고 생각하고 절을 하였죠. 신하의 무덤치고는 왕릉처럼 규모가 크고 관리가 잘되어 있어 놀랐는데요, 풍수지리가들은 이곳이 명당 중에 명당이라고 극찬한답니다. 제사를 지내려 이곳을 지나갔을 왕건의 흔적을 찾아보려고 돌계단을 만져보기도 하였습니다. 장군묘 옆에서는 고구려 고분을 볼 수 있었는데요, 돌을 쌓아서 ...
- [베스트포토상] 독도 플래시몹기사 l20160820
- 인식되어 왔는데 이는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문서를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 역사적으로도 우리 땅이 명백합니다. 세종실록지리지 외에도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문헌비고', '만기요람', '증보문헌비고' 등 많은 관찬 문헌에 일관되게 독도에 관해 기록되어 있습니다. 3. 또한 17세기 한일 양국 정부간 교섭(울릉도 ...
- 뀌즈 10 답공개포스팅 l20160803
- .고인돌이란?고릴라가 인간을 돌맹이취급하던 시대2. 엉성하다란?엉덩이가 풍성하다3.개미네집 주소는?허리도 가늘군 만지면 부러지리4.a젖소와 b젖소가 싸움을 했는데 b젖소가 이겼다. 왜일까?A젖소:에이 졌소 b젖소: 삐졌소?5.요조숙녀란?요강에 조용히 앉아있는 숙녀6.빨간 길에 동전을 던지면?홍길동전7.길에서 죽으면?도사(길 도 죽을 사)8.특공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정치적 혼란기를 제외하고 오늘날까지 왕실 및 제례 단체에 의해 매년 행해져 왔다.이 가운데에서도 기준 (ⅲ)에서 말하는, 풍수지리의 원리를 적용하고 자연경관을 유지함으로써(Through the application of pungsu principles and the retention of the natural landscape) 제례를 위한 기 ...
- (golden war)금빛전쟁 #17 하이샤가 깨어나 보니 인도 원주민 중 하나의 부족으로포스팅 l20151217
- 괜히 눈물이 나왔다. 아이리스 할머니가 말했다. "우리 부족이 도와줄 수 있을 것 같구나. 우리 부족은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지리에도 뛰어나거든." 하이샤는 토끼눈을 뜨고 말했다. "정말요? 그렇지만 처음 만난 사람을 부족들이 도와줄까요?도와준다면 고맙겠지만..." 아이리스 할머니가 말했다. "그럼. 우리 부족이 가장 중요시하는 게 도움이거든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기사 l20151210
- 기준 (ⅲ) : 유교 문화의 맥락에서, 조선왕릉은 자연 및 우주와의 통일이라는 독특하고 의미 있는 장례 전통에 입각해 있다. 풍수지리의 원리를 적용하고 자연경관을 유지함으로서 제례를 위한 기억에 남을 만한 경건한 장소가 창조되었다. 기준 (ⅳ) : 조선왕릉은 건축의 조화로운 총체를 보여주는 탁월한 사례로, 한국과 동아시아 무덤 발전의 ...
- 백사 이항복 선생의 묘를 다녀오다 당쟁에 맞서다 당파에 희생된 한 선비의 이야기기사 l20151111
- 권율장군의 딸이다. 당대 최고의 문인인 선생의 묘비치고는 소박하다. 뒷편에서 내려다 본 풍경. 자세한 건 모르지만, 풍수지리상 얼마나 좋은 자리일까. 이항복 선생 부부의 쌍봉 동쪽 아래에 정경부인 금성오씨의 무덤이 있다. 금성오씨는 이항복 선생의 두번째 부인이다. 백사선생이 1618년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될 때 북청까지 따라가서 ...
- 한양도성 견학 한양도성에 갔다옴기사 l20150819
- 한양도성에 갔다왔습니다. 그곳을 둘러보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지리에 밝다고 생각했습니다.한양도성박물관에서 태조가 지은 토성은 흔적을 찾을수 없고, 세종이 지은 성벽은 옥수수 알맹이 같고,숙종이 지은것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 독도는 우리땅! 소중한 우리 땅 독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독도가 우리땅인 이유를 알아봅시다.기사 l20150725
- 등에 우리 땅이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조선시대 때부터 일본은 조선을 탐했습니다. 그 이유는 독도가 경제적 지리적으로 많이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일본이 독도를 탐하다가, 일제 시대 때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으로 바꾸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독립을 하자 뺏지 못하였습니다. 그러고선 일본이 자기끼리만 몰래 학습과정에 독 ...
이전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