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냉
한랭
서리
d라이브러리
"
혹한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봐도 적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대중적 인식확산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입니다.장명화―
혹한
인데도 연만한 선생님들도 젊은 선생님 못지않게 열심히 탐사에 임하시는 모습을 보고 감명받았습니다. 이를 학문과 연결하면 좋은 결실이 있을 듯합니다. 아울러 이런 좋은 기회를 만들어주신 동아일보와 ... ...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뒤덮인 설경은 추한 것을 감싸주고
혹한
속에서도 포근함을 느끼게 하는 우리 나라 겨울의 아름다운 모습의 하나다. 이 달에는 눈의 생성 과정과 결정 모양에 대해 알아보자.눈의 결정의 크기는 대개 2-3㎜인데, 그 모양은 다양하고 아름다우며 똑같은 결정이 없다. 눈의 결정의 연구로 유명한 벤틀리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쪄 있다. 그 끝에 달린 새싹은 밖을 향하여 봄을 기다리고 있다. 마치 남극의 신사펭귄이
혹한
속에서도 얼음목욕을 즐기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진다. 수도자같은 생활사지상부는 나약하고 가늘지만 탄력이 있어 바람따라 제멋대로 흔들린다. 대개는 나무 밑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에 강한 바람은 덜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볼 수 있다. 30분이면 짓는 주택 겔기후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여름은 덥고 겨울은
혹한
이 계속된다. 여름의 더위는 내륙이기 때문에 습기가 없어 견딜 만하다. 그러나 겨울의 추위는 수도 울란바토르 등지에서도 -40℃로 내려가는 일이 많다. 5~6월의 2개월이 봄에 해당되는데, 이때 초원의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체계로 보는 글로벌(global)에너지시스템. 예를들면 사막지방과 열대우림의 에너지가
혹한
지역으로 손실없이 전송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를 실현하려면 저항없이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초전도체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 글로벌에너지시스템이 실용화되면 지구의 한쪽이 밤일때 다른 쪽은 낮이므로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대단히 다양하다. 그 가운데 우주의 폭발이 지구를 황폐화시켰다는 가설과 기후의
혹한
기가 다가와서 생물계에 큰 타격을 가해 급기야 공룡의 멸종이 야기되었다는 가설이 가장 인기를 모으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난 2백여년간 세계 각처에서 수집된 다양한 공룡과 익룡류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 ...
가솔린과 디젤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위험이 줄어들고 연료소비량이 가솔린엔진보다 30% 이상 적다. 셋째로 영하 20~40℃의
혹한
에서 엔진을 시동할 때는 경유가 인화점이 높기때문에 유리하다. 넷째로 복잡한 점화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이것으로 인한 고장률이 적고 엔진회전속도에 상관없이 연료공급이나 조정이 자유로워 ... ...
합리적인 우주고려장제도 절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판정패를 당한 사건이 미국의 NASA(미국 항공우주국)에서 발생했다.1986년 1월28일
혹한
의 겨울 케이프 케네디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챌린저호는 1분 51초만에 공중폭발해 7명의 귀한 생명이 목숨을 잃었다. 즉각 원인규명과 대책을 위한 청문회가 수개월간 계속됐다. NASA 기술진은 날씨가 워낙 추워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든 예는 온혈동물이 영하의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극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그
혹한
을 이길 수 있게 된 것은 탁월한 적응력 때문이겠지만 찬 외기나 물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게 하는 두꺼운 털과 터럭(羽毛)도 그들이 내한성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도 두껍게만 입으면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필름 통수는 자그마치 1천여통. 사진 한 장을 얻기 위해 영하 10℃가 넘는 야외에서
혹한
의 겨울밤을 꼬박 새워야 하는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1만컷은 천문학적인 숫자다. 핼리혜성으로 지구촌이 들썩거릴 때(85~86년초), 이씨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핼리의 모습을 찍기 위해 28박29일의 대장정을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