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냉
한랭
서리
d라이브러리
"
혹한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알을 깨고 나온다. 어미는 나는 법과 먹이 잡는 법을 가르친 뒤 새끼와 함께 시베리아의
혹한
을 피해 철원으로 날아온다. 날지 못하는 새끼 두루미는 남겨져 죽음을 맞기도 한다.두루미 부부는 마주보고 고개와 날개를 뒤로 젖힌 채 번갈아 울어댄다. 사랑을 확인하고 부부 영역을 표시하는 행동이다.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대보고는 0.5℃ 정도의 온도 차이를 알아내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사람은 영하 30℃의
혹한
도 견디고 40℃의 더위도 견딜 수 있다.일기예보엔 어김없이 다음 날의 기온이 나온다. 별생각 없이 매일 얘기하는 온도는 어떤 기준으로 정했고 그 정체는 무엇일까.열과 온도 어떻게 다르지?온도를 알려면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kdmedia.net, 가격 2만5300원.추운 겨울을 내는 방법은 ‘이한치한’(以寒治寒). 영하 40도의
혹한
, 시속 150km의 바람이 부는 남극으로 떠나보자. 혹독한 추위 속에서 황제펭귄 가족이 아기펭귄을 낳고 키워내는 260일간의 기록을 담은 다큐멘터리가 가슴을 따뜻하게 해준다.뤽 자케 감독.엘리쎄_EL49017elysee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붙여줬다. ‘춤추는 바다코끼리’ ‘거친 바다코끼리’라는 뜻이란다. 영하 14℃의
혹한
을 맨살로 부딪치며 비행했으니 그렇게 부를 만하다. 나는 ‘북극곰’이라는 별명이 훨씬 맘에 든다. 이번에 세계일주에 성공하고 나면 그 이름을 붙여주지 않을까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껍질은 기동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차세대 전차의 방탄기술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최근
혹한
의 환경에서도 얼어죽지 않고 살아가는 곤충의 몸에서 항동결단백질(AFP)이 발견돼 화제를 뿌렸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특정 곤충에서 분리한 항동결단백질의 내동능력은 세계적인 수준인 것으로 ... ...
열대지방에서 동면하는 포유류 첫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봄에 이른다. 즉 동면인 셈이다. 그러나 열대지방이므로 낮에는 여전히 30℃를 웃돈다.
혹한
의 추위를 피해 동면하는 포유류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열대지방에서 동면을 하는 종이 발견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를 이끈 필립스대 캐서린 다우스만 교수는 “이들이 잠을 자는 시기는 비가 거의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한수 위다.미꾸라지는 영하의 겨울철에도 생존할 수 있는데다가 서식처의 물이 마르거나
혹한
또는 혹서의 환경 속에서는 30cm 안팎의 진흙 속으로 파고 들어가 열악한 환경을 견디며 살아 남는다. 특히 이 녀석들은 아가미 호흡뿐 아니라 장 호흡도 하므로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하거나 논에 물이 없을 ... ...
한국 태양광 기술 몽골 사막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남쪽이지만 고도가 5백m 가량 더 높아 한겨울의 기온은 영하 40℃를 밑돈다고 한다.이런
혹한
에서 태양광·풍력 발전시스템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또 모래가 날려 시스템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업팀은 준공식 이후 1년 동안 현지 실증시험을 통해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덮는다.추위 피해 1천6백km 이동자연환경이 가
혹한
남극에서도 겨울은 생물에게 더 가
혹한
계절이다. 그래도 생명현상이란 신비해 동물들은 남극의 겨울을 슬기롭게 이겨낸다. 회색으로 잔뜩 찌푸린 하늘을 날아가는 새를 보면 ‘남극의 겨울에도 생명이 있구나’ 하는 경외감이 느껴진다.겨울이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타이탄에 떨어뜨린다. 진입과정에서 호이겐스는 대기의 온도·기압·밀도 등을 탐사하며,
혹한
에서도 끝까지 살아남는다면 낙하와 착륙 장면을 파노라마 형식으로 지구로 보내올 것이다. 착륙후 호이겐스는 액체의 흐름과 성분 등을 조사한다. 특히 작은 마이크가 장착돼 타이탄의 천둥과 바람소리,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