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의"(으)로 총 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하버드대의 ‘황당무계 연구 연보’를 만드는 편집진과 여러 과학자들이 선정한다. 올해의 이그노벨상 시상식은 지난 9월 20일(현지시간) 하버드대 샌더스 극장에서 열렸다.죽은 연어의 뇌 속에서 신호가?fMRI(기능성 자기공명영상)는 뇌 속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 됐는지를 ... ...
- [수학뉴스] 서울대 이기암 교수, 9월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출렁거리는 형태를 띈다. 이 교수는 완전 비선형 방정식의 해가 가진 규칙성과, 그 해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규명하는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왔다. 특히 지난 2003년 발표한 논문은 다른 논문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은 수학 분야에서 22회나 인용되는 등, 지금까지 총 30여 편의 논문이 139회 ... ...
- [news focus] 포스텍 수학과 김민형 교수, ‘호암상’ 수상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찾는 정수계수 다항식의 문제로 일반화된다. 독일의 수학자 게르트 팔팅스는 유리수 해의 개수가 유한하다는 것을 밝혔고, 이 공로로 1986년 필즈상을 받았다.김민형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유리수의 해를 찾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때 김 교수가 생각한 아이디어는 바로 위상수학의 ... ...
- 신화와 현대 화학을 넘나드는 12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다른 해의 간지도 알아낼 수 있다. 간지를 이미 알고 있는 특정 해와, 간지를 알고자 하는 해의 연도 차이를 12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십이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알고자 하는 해 - 십이지를 이미 알고 있는 특정 해) = 12 ×(몫) +(나머지) 예를 들어 2011년의 간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우선, 2011년은 ... ...
-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햇빛으로 만든 달력을 찾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고도가 하지에는 71.3°, 동지에는 24.4°다. 자오선 위에 쓴 숫자 24는 남중고도이고, 45는 해의 남중고도에 따른 탄젠트 값이었다.탄젠트를 이용한 달력 만들기 자오선의 숫자는 θ = 90°-(남중고도)일때, tanθ의 값에 100을 곱해 정수로 만든 값이다.① 1년 중 해가 가장 높이 뜨는 하지일 때 100×tan(90°-71. ... ...
- 그림과 놀이로 배우는 도형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와~! 박사님. 신기한 작품이에요. 그림자에 걸어가는 사람이 보여요.”“그렇지? 일본의 예술가 쿠미 야마시타의 작품이란다. 그림자를 이용해 재밌는 작 ... 24절기를 가로선에 그어 표시했고, 가로선에 수직인 세로선에 시각을 나타냈다. 해의 그림자를 활용한 조상의 지혜가 돋보인다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답을 낼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이 문제처럼 해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해의 개수를 물어 부정방정식의 해를 일반화시킬 수 있어야만 정답을 낼 수 있다. 앞으로 몇 개의 수를 대입하는 요행으로는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예측이 가능하다. 다소 쉬워진 조합중학교 수학은 주로 대수와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여러개가 될 수 있다. 한 곡을 똑같이 불렀는데도 팀마다 합격자 수가 다른 이유는 해의 조건 때문이기도 하다. 심사위원이 ‘정수인 해’ 를 요구한다면 어떤 연립방정식에는 해가 존재하지만 다른 연립방정식은 해가 없을 수도 있다.신입 아나운서를 선발하는 ‘신입사원’ 에도 그룹 오디션과 ... ...
- Part 5. 포스터로 보는 수학의 활약수학동아 l2011년 04호
- 0년을 수학의 해로 정했다. 수학의 발전과 수학의 시각화, 21세기의 거대한 도전을 수학의 해의 주제로 삼았다. 이에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의 유럽은 학술 모임, 강연, 전시 등 다양한 수학의 해 행사를 열었다. 수학의 시각화라는 주제답게 1999년 유럽수학연합은 수학 포스터 만들기 ...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과학동아 l2011년 03호
- ] [귀신 들린 바다 핀란드와 스웨덴 사이 알랜드 제도 주위에 떠 있는 얼음 조각이 발틱 해의 짙은 바다색을 배경으로 청록색을 띠고 소용돌이치고 있다. 바닷물이 얼어 해빙이 돼 가는 초기 단계에는 수많은 얼음 결정이 바다 위를 떠다니며 물 위에 기름을 띄워 놓은 것 같은 모습을 만든다. 여기에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