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의"(으)로 총 1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나타내면 그 해는 주기를 갖고 있어요. 그런데 온도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값이 크면 해의 주기도 짧아져 버려요. 생체시계의 원리를 알아내려면 매개변수의 크기가 바뀌어도 주기는 그대로인 해가 뭔지 구해야 하는 거죠.생체시계는 밤을 새는 날이 많은 간호사나 경찰관 같은 사람들의 건강과 ... ...
- 우리 가족은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21일, 이화여자대학교 종합과학관에서 2015년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이 열렸어요. 올 한 해의 탐사를 무사히 마친 160여 명의 탐사대원들이 수료증을 받기 위해 모였죠. 역대 최대 규모의 3기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은 올해 어떤 활동을 해왔을까요? 수료식 현장을 생생하게 담아 소개합니다 ... ...
- 슈퍼엘니뇨, 남극의 해빙을 없애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엘니뇨가 극심해지면서 남극 서쪽에 있는 아문센 해, 벨링스하우젠 해, 웨델 해의 기온, 해수면 온도, 해면기압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해수는 염분함유량과 해수면의 온도에 의해 어는점이 결정되는데, 온도가 상승하면서 해빙은 덜 형성되고 대신 갈라져 나가는 유빙이 증가한 것이다. NASA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일부는 따뜻해지고 일부는 추워진다. 한 가지 큰 변수는, 북미 기후에 영향을 주는 척치해의 해빙이 올해 역사상 가장 많이 녹았다는 점이다. 올 겨울 북미 날씨는 아주 복잡하게 나타날 것이다.Q 앞으로 목표는?정지훈 교수 겨울철 계절을 더 정확히 예측하는 게 목표다. 장기적으로는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풀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획기적인 해결법이 등장해 토네이도의 이동 ... ...
- 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미적분학을 제대로 모른다. 세상의 모든 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편미분방정식은 아직 해의 존재 여부조차 모르고, 적분이 제대로 정립된 지는 100년이 갓 넘었을 뿐이다. 현대 인류는, 미적분학 발전사의 한가운데에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일상을 지배하는 미적분의 재발견Part 1.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수학동아리가 웬 봉사활동이야?’ 하는 의문이 들 수 있겠지만, 봉사는 파이에게 한 해의 활동을 완성시켜 주는 꽃과 같다. 평소 만들기를 통해 느끼는 수학의 즐거움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은 작년부터 ‘충북 수학축제’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충북 수학축제는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01/001’로 바꾸는 방법이다. 연도에는 백의 자리를 추가하고, 달과 일의 구분을 없애고 그 해의 몇 번째 날인지로 현재 날짜를 표시하는 것이다. 마지막 방법은 기존 표시 방식을 그대로 두고 연산할 때만 00년으로 표시된 데이터를 2000년으로 바꿔 계산하는 방식이다. 비용도 적고 간단한 패치만으로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80㎞ 부근에서 생기지요. 보통 구름보다 높이 떠 있는 야광운은 지평선 아래로 넘어간 해의 빛을 받아 반사시킬 수 있어요.(위 그림 참조)야광운이 생기는 곳은 지구 대기권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중간권이에요. 중간권은 공기가 흐르면서 열을 전달하는 대류운동이 약하고, 수증기가 없어 구름을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그 해의 가장 크고 밝은 보름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르는데,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그 해의 가장 작은 달에 비해 약 14% 크고 30% 밝은 달을 슈퍼문이라고 부른다. 이런 정의에 따라 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올해 7, 8, 9월에 슈퍼문을 볼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중 가장 크고 밝은 보름달은 바로 지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