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배가 산으로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들어오면 운하는 물을 채워 더 높은 갑문으로 배를 올려 보냅니다. 배는 운하 중간에 위치한 가툰 호수에 도착하면 반대편 바다를 향하는 갑문으로 들어가요. 이번에는 반대로 물을 빼 내려가며 갑문을 통과합니다. 운하의 모든 갑문을 통과하면 마침내 반대쪽 바다로 들어갈 수 있어요. 이러한 ... ...
- [사고력 두뇌 퍼즐] 클래식 스도쿠 /심플루프/신호등 암호/전개도 찾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숫자도 위치도 틀린 것, 노란불은 숫자는 맞으나 위치는 틀린 것, 초록불은 숫자와 위치 모두 맞는 것이에요. [전개도 찾기] 전개도는 입체도형의 모서리를 잘라 펼친 평면도형을 말해요.의 전개도를 만들 수 있는 입체도형을 찾아 보세요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도입된 후 단 한 명도 없었다. 난 지금까지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해 왔다. 그렇게 높은 위치에 올라 사회적 명예와 부를 갖춘 사람들이 범죄 따위를 저지를 일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마더’의 보고서에 그런 사람들의 이름이 오르고 실제로 처벌받으면 어떻게 될까? 사회가 ... ...
- [가상인터뷰] 쥐도 상상을 한다z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쥐도 머릿속으로 원하는 것을 상상한다는 게 확인된 거야. 쥐도 상상을 한다니!원하는 위치에 상상으로 도착한 쥐 3마리는 머릿속으로 특정 물체를 원하는 곳에 이동시키는 데도 성공했어. 연구팀은 “실험 결과를 통해 쥐가 사람처럼 정확하고 유연하게 해마 활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곤충을 먹거리로 이용하는 것처럼 말이죠. 이를 위해선 우선 곤충의 특징과 분류학적 위치를 알아야 해요. 그 작업을 하는 사람이 바로 분류학자고요. 어떤 생물의 학명 끝에 ‘Park’라는 제 성씨가 보이면, 기사를 떠올려 주세요 ...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나왔지요. 타이루거 국립공원은 해발고도 3000m가 넘는 산봉우리가 27개나 되는 산맥에 위치해요. 이 지역의 암석들은 과거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이 부딪히면서 높은 압력과 열을 받았어요. 그로 인해 2억 3000만 년 전 중생대 바다 아래서 쌓인 퇴적물로 이뤄진 퇴적암(석회암)은 해저 깊은 ... ...
- [특집]지질학자와 함께한 대만족 여행, 대만 탐험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탐험에 나섰지요. 대만탐험대는 대만 북부 ‘타이베이’와 동부 ‘화련’, 서부에 위치한 화산섬 ‘펑후’까지 아름답고 이색적인 지질명소를 찾아 대만 곳곳을 누볐습니다. 3박 4일간 즐거웠던 탐험 이야기를 지금부터 공개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Day1. 예류 지질공원, 타이베이 10 ... ...
- Day1. 수천 년 파도와 바람이 만든 버섯바위를 만나다! (예류 지질공원-타이베이101타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공항 근처에서 간단한 식사를 마친 대원들은 다시 차로 1시간 반 이동해 해안가에 위치한 ‘예류 지질공원’에 도착했습니다. 시원한 바닷바람까지 맞으니, 섬나라 대만에 왔다는 걸 더욱 실감할 수 있었죠. 공원 안으로 몇 걸음 들어서자, 낙타의 등처럼 봉긋 솟아 있는 버섯 바위들이 나타났어요. ... ...
- [가상인터뷰] 불가사리의 별 모양, 몸통 아닌 머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불가사리의 성장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가 어느 위치에서 발현되는지 조사해 3차원 지도를 만든 다음, 다른 후구동물의 유전자 구조와 비교했어. 후구동물은 극피동물을 포함하는 더 넓은 분류로, 신체가 좌우대칭을 이루는 인간 등 척추동물도 포함돼. Q. 결과는 ... ...
- [지구사랑탐사대] 도시숲에는 어떤 생물이 살아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생물을 팝콘플래닛 앱과 종이 지도에 기록했어요. 특히 다 같이 대형 지도에 각 생물의 위치를 표시하며 소중한 기록을 만들었습니다. 탐사에 참여한 유승기 대원은 “아파트가 있는 도시숲에서 멸종위기 2급 생물종인 새매를 볼 줄 몰랐다”며 “생물들의 서식지 역할을 하는 도시숲을 더 소중하게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