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전
이
혹한
surrey
d라이브러리
"
서리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 변화 간직한 자연계의 하드디스크, 나이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넓고 반대의 경우는 좁아진다. 또 나무가 한창 자랄 시기에 극심한 가뭄이나 병충해, 늦
서리
등 갑작스럽게 환경이 나빠졌을 때는 나이테처럼 보이는 ‘가짜 나이테’가 생기기거나, 심한 경우 한해 동안 나이테 만들기를 아예 쉬어버리기도 한다. 이처럼 나무는 자기가 부닥친 자연계의 복잡한 ... ...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갖는다. 자연에는 직각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확히 측량해 만들어낸 사각의 예리한 모
서리
는 인간적 예지를 돋보이게 하는 장치다.자연과 이성이라는 두가지 대립축으로 성장해온 원형과 사각형이 과연 미래에는 어떻게 될까. 주변의 사물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곳에 사용된 기본형태를 분별해 ... ...
약물 안전하게 수송하는 분자 곶감타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입맛을 유혹했던 곶감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기다란 꼬챙이에 끼어 찬바람과 아침저녁
서리
를 맞으며 탐스럽게 익어가던 검붉은 곶감.그런데 화학분야에서도 곶감타래가 실현됐다. 초분자를 이용한‘쿠커비투릴 분자 곶감타래’다. ‘쿠커비투릴’(cucurbituril)은 분자 곶감타래에서 곶감의 역할을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몸에 걸치는 또하나의 액세
서리
로 정착해가는 분위기다.그러나 선글라스를 단순한 액세
서리
로 취급한다며 큰 코 다칠 수 있다. 안경에 색깔이 들어간 색안경으로만 생각한다면 금물이다.플라스틱 렌즈 자외선 차단 못해20대의 김모씨. 그는 올여름 휴가 때 동해안의 해수욕장을 찾기로 계획했다.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차이가 있을 뿐이고, 네변이 각각 정확히 동서남북을 가리키며, 밑변의 각모
서리
는 무시할 정도의 오차범위에서 90°를 이룬다. 그런데 거대하고 정밀한 대피라미드를 만드는데 참여한 일꾼들에게 유일한 자극제가 살벌한 채찍뿐이었다면, 이런 정밀성을 달성하지 못한 것은 물론 건설 초기에 반란이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신화에 따르면 게르만의 대지는 오딘이 죽인
서리
거인의 살이고, 호수와 바다는
서리
거인의 피입니다.수요일 앞의 화요일(Tuesday)은 티르의 날(Tir day) 또는 테브의 날(Tew day)입니다. 티르는 오딘의 아들로 하늘의 수호신입니다. 그는 태양과 달을 삼키는 거대한 늑대와 싸우다 한팔을 잃게 됩니다.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서리
가 내리는 것도 중요한 계기다. 잎안의 색소가 충분히 만들어지거나 발현되기 전에
서리
가 내려버리면 그 단풍빛은 예년만 못해진다.유럽이나 대만에 사는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단풍을 보고 크게 감탄을 하는 경우가 많다. 대만처럼 따뜻한 곳은 사계절의 뚜렷한 기후 변화가 없어 겨울을 ... ...
휴먼로봇 꿈 이루는 휴머니스트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그러다가 중학교에 가서 구체적으로 과학에 흥미를 갖게됐다. 비가 왜 오는지, 창문에 왜
서리
가 생기는지, 하늘이 왜 파란지 등을 과학시간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선생님의 격려가 큰 힘이 된 것은 물론이다.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택할 때 주저함이 없었다. 김박사는 다른 것에 별로 끌리지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높지 않아 6등성과 마찬가지로 어둡게 보이기 때문이다. 또 사진을 찍을 경우 렌즈에
서리
가 끼지 않도록 열을 내주는 핫팩(약국에서 구할 수 있다)이 꼭 필요했다.남십자자리 등장초저녁 천정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두 별 시리우스와 카노푸스의 등장으로 남천의 밤하늘이 열리기 시작했다. ... ...
눈물 젖은 꿈 우주에 띄운 '우리별' 주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우리별’ 제작 프로젝트를 알려준 것이었다. 주저할 것이 없었다. 짐을 싸 영국
서리
대학으로 떠나 외국의 기술을 하나도 빠짐없이 배우려고 노력했다. 이때 같이 출발한 팀이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유사장을 포함한 ‘위성꿈나무’였다. 유사장은 위성의 눈인 카메라시스템에 관한 일을 맡았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