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전
이
혹한
surrey
d라이브러리
"
서리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됐다. 위성기술을 습득하는 데 또 한번의 기회가 된 것이다. 우리별1호는바로 이곳
서리
대학에서 우리 연구원들이 참여한 가운데 제작됐다. 그러나 외국의 부품과 외국 기술진에 의해 개발됐다고 해서 '우리별'이 아니라 '남의별' 이라는 신조어가 탄생하기도 했으니 참으로 웃지 못할 일이다.우리별 ... ...
조선 건국의 상징 「천상열차분야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제작했다. 그리고 7년 후 천문분야지도를 만든 것이다.그런데 6백년의 바람과
서리
를 이겨온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대해 한국외국어대 박성래 교수가 조심스럽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국보 228호로 지정된 석각 천상열차분야지도는 1395년에 종이에 그린 것을 1433년에 석각한 것이란 주장이다. 이를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관한 기록도 관심을 기울여 볼 수 있다. 우리의 고대사서들에는 태풍 홍수 가뭄 뇌우
서리
눈 안개 등의 기상현상과 지진 광물질 조수 적조 등 지질·해양학적 현상에 관한 기록들이 풍부하게 실려있다. 또한 이러한 자연현상 기록들을 당시의 사회·문화적 상황과 비교하며 역사적 의미를 맛보는 ... ...
화려한 산개성단 앞세워 황소 힘찬 돌진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이때 천칭자리에서 엄청나게 밝게 빛나는 금성과 바로 밑의 전갈자리에서 빛나는 목성이
서리
가 내리는 추운 새벽하늘을 정답게 비쳐주고 있다.망원경으로 보는 금성의 모습은 아주 작은 초승달 모양이다. 한편 전갈자리의 1등성 안타레스를 무색케 만드는 목성은 이 달 30일 아침 달과 접근하여 ... ...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수 있을 것이다.날짜 상으로 가을의 마지막날인 30일의 새벽은 더이상 가을이 아니다.
서리
가 내리는 늦 가을의 새벽은 한겨울의 추위를 능가하고, 밤 하늘은 어느새 봄철의 별자리들이 동쪽하늘을 장악하기 시작한다.살을 에는 듯한 추위 속에 쳐다본 밤하늘에는 겨울철의 화려한 별자리 오리온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무수히 많은 탄소화합물들이 나름의 체계를 갖고 분류되는 까닭은 '금기의 영역'에 도전한 과학자들의 공헌 덕택이다.알코올하면 대부분의 사 ... 수증기가 유리에 붙는 것을 방해한다. 분자간의 인력이 비교적 약한 2- 프로판올은
서리
제거제가 유리창에 잘 흘러서 고루 퍼질 수 있게 해준다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ASA 100 전후의 필름을 사용한다.■ 이슬방지용 히터장시간 노출촬영을 할 때 렌즈 앞에
서리
는 이슬을 방지할 수 있으면 좋다. 이슬을 제거하려면 주머니 난로나 이슬방지 전용 히터를 연결해서 쓰면 된다. 온도는 렌즈가 약간 따뜻한 정도만 돼도 충분하다. 히터는 고무줄이나 끈으로 렌즈후드에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지나가는 모습을 살펴보자. 그리고 황소자리와 사자자리의 유성우도 관측해보자.이슬이
서리
로 바뀌어 내리면서 곡식들의 성장이 멈추고, 짙푸르던 나뭇잎들도 붉게 물들기 시작하여 푸른 하늘 아래의 산과 들이 오색찬란해지는 계절이다.밤하늘에서의 변화도 이에 못지 않다. 여름을 대표하던 ... ...
우리별 2호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국내에서 우리 기술진의 힘으로 제작, 드디어 발사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영국의
서리
대학은 이번에 일부 부품을 조달해 주었다.국산 부품 채용에 노력2호의 국내제작 때는 그간에 습득한 우주 관련 기술들의 일부를 국내의 관련 기업들에 전수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국내에서 제작된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흔히 관찰할 수 있다. 여름철에 냉장고에서 꺼낸 음료수 병이 시간이 지나면 겉면에 김이
서리
는 것이나, 추운 겨울에 따뜻한 방안으로 들어가면 안경에 김이 서려 앞이 보이지 않는 것 등은 이와 같은 원리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구름의 형성은 단열냉각으로구름의 형성과정도 결국은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