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이슈] '제로 슈가’ 전성시대 대체 감미료, 직접 먹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과당의 이성질체다. 3번 탄소에 붙은 수산기(OH)의 위치가 다른 것을 빼고는 과당과 분자 구조가 동일하다. 그러나 그 미세한 차이로 인해 몸에서 분해되지 않으며, 열량을 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저열량 감미료로 쓰이기 적합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수화물 기반 감미료는 쓴맛이 없고 설탕과 ... ...
- [기획] 단백질 구조, 악보로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위함이었죠. 위종 교수는 “단백질 악보는 입체적으로 복잡하게 꼬인 단백질 분자 구조를 평면으로 펼쳐 놓듯이 구성 성분과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일반인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악을 통해, 단백질 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싶었다”고 말했어요.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 ...
- [최신이슈] 과학은 가끔 혼돈의 카오스 위를 굴러야 한다, 트라젝토이드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아닌, 전혀 다른 문제에 대한 해답에서부터 온다”고 했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해 원자나 분자 등 아주 작은 물체를 집어 올리는 ‘광학 족집게’의 예를 들어볼까요. 광학 족집게 연구는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현재는 양자 컴퓨팅, 바이러스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죠. ... ...
- [빅잼] 이그노벨상을 타면 노벨상도 받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떨어지지 않고 전자석의 중심에 뚫린 구멍 내부에 떴다! 가임 교수는 이 현상이 물 분자가 가진 반자성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반자성은 물체가 외부 자기장과 반대 방향으로 자성을 띠는 성질이다. 물은 미약한 반자성을 띤다. 그런데 전자석의 강한 자기장 속에서 물의 반자성이 나타났고, 이 힘이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예전에는 민그물버섯속을 주름버섯류가 속한 우단버섯과로 분류했어요. 그러나 최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민그물버섯속의 버섯은 그물버섯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그물버섯속의 조상은 관공이 있었지만, 현재는 진화를 거듭하며 주름살 형태로 변모한 것이죠 ... ...
- [기획] 분자의 음악, 바닐라 소리는 달콤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연결해주는 통역사 역할을 해주는 거예요. 더 나아가, 악보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분자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티모시 교수는 “대중에게 음악은 화학이나 컴퓨터 언어에 비해 받아들이기 수월해 기계와 사람 사이의 정보 해석 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며 “음악은 학생들이 화학 개념을 ... ...
- [가상 인터뷰] 문어가 다리로 맛을 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그럼 오징어도 빨판으로 맛을 봐? 연구팀은 오징어의 빨판은 문어와 달리 물에 녹는 분자만 감지할 수 있고, 빨판의 수도 문어보다 훨씬 적다고 분석했어. 두 동물의 빨판이 다른 건 먹이 사냥 방법과도 관련이 있어. 문어는 다리로 먹이를 직접 건드리며 맛을 보는데, 오징어는 숨어서 물에 녹아 ...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원소와 분자, 단백질 등 화학의 요소가 음악이 되는 걸 확인했다면, 이번엔 소리가 화학에 참여할 차례입니다. 소리가 화학 반응을 조절하는 과정을 확인해 볼까요? 둥둥둥, 화학 반응 칼군무의 비결은 소리? 2020년, 포스텍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은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이용해 세계에서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등에 들어가는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600배 정도 달아요. 과자에 주로 들어가는 사카린 분자는 쓴맛 수용체와도 결합하기 때문에 단맛과 쓴맛이 함께 느껴질 수 있답니다. 건국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오덕근 교수는 “감미료마다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식품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대결의 승자는? 일반 콜라 vs 제로 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그 압력으로 풍선이 부풀어요. 제로 콜라에 들어 있는 수크랄로스는 설탕 등 과당보다 물분자의 표면장력을 훨씬 더 약하게 해요. 그래서 제로 콜라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생기는 반응이 일반 콜라보다 빠르게 일어나 풍선도 빨리 부푼답니다. 지난해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교 의과대학 프라뎁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