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리서치"(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5배최근 과학자들은 코끼리 코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한가지 밝혀냈습니다. ‘게놈 리서치’라는 학술지 7월 23일자에 일본 도쿄대 응용생화학과 니무라 요시히토 교수팀이 발표한 논문을 볼까요? 아프리카코끼리를 비롯해 오랑우탄, 쥐, 개 등 포유동물 13종의 후각수용체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 ...
- [교과연계수업] 내 몸이 탈수 상태라고?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때 물 대신 음료수를 마시는 어린이는 유빈이뿐만이 아니야. 지난 해 제일기획과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800명을 조사해 보니 하루 평균 물을 4잔밖에 마시지 않더라고.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하루 섭취 권장량의 1/3 밖에 되지 않지. 관동대학교 가정의학과 오한진 박사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모여 머릿속 지도가 된다고 오키프 교수는 생각했다. 그는 1971년 학술지 ‘브레인 리서치’에 이런 이론을 발표했지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실험에 오류가 있다, 쥐의 후각이 위치 파악에 얼마나 중요한지 간과했다고 비아냥거리는 이도 있었다. 당시에는 뇌세포의 전기신호로 동물의 행동을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때 물 대신 음료수를 마시는 어린이는 유빈이뿐만이 아니야. 지난 해 제일기획과 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우리나라 청소년 800명을 조사해 보니 하루 평균 물을 4잔밖에 마시지 않더라고. WHO(세계보건기구)가 정한 하루 섭취 권장량의 1/3 밖에 되지 않지. 관동대학교 가정의학과 오한진 박사는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더 하듯, 매 실험마다 조금씩 배우면서 답을 찾아나갔다는 뜻이다. 지금도 그는 “‘리서치(research)’는 ‘다시 찾는다(re-search)’는 말이라고 믿고 실험의 무한반복을 즐긴다”고 밝혔다. 매일매일 새로운 질문을 하고 답을 찾는 게 행복하고, 그 자체가 연구에 대한 가장 큰 보상이라고 한다.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자세와 사고 사이의 관계도 알아낼 수 있다.신체 정보도 데이터화 시대미국 조지아공대 리서치연구소의 로버트 델러노와 브라이언 파리제 교수는 파킨슨병이나 다른 신경계 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아이트램’이라는 스마트폰 앱을 개발했다. 이 앱은 스마트폰에 들어 있는 가속도계로 몸의 ... ...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연소 속도가 눈에 띄게 감소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화학공학분야 국제학술지 ‘I&EC 리서치’ 최근호에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 난연제 개발에 대한 가능성이 커졌다. ‘난연제’는 불에 잘 타고 연소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플라스틱, 합성섬유 등에 첨가하거나 표면에 발라 내연성을 ... ...
-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경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11월 22일부터 이틀 동안 진행된 싱가포르 채용박람회 ‘리서치 버츄얼 커리어 페어’에 참가한 싱가포르 난양공대의 데이비드 버틀러 교수는 “싱가포르에 와서 10년 이상 일하고 있는 외국인 과학자들이 많다”며 “이들은 유럽이나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대우를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가입자를 하나라도 더 모으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인다. 그런데 외국계 리서치 회사 강의에서 앞으로 통신 회사는 기술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서 ‘스마트한 IT회사’와 ‘비용만 절감하려는 회사’로 나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스마트한 IT회사가 요구하는 인재가 되기로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린 미국 나발연구소 박사와 데이비드 린드 NASA 고다드연구소 박사가 ‘지오피직스 리서치 레터’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화산이 큰 규모로 분화하면 약 2~3년 동안 화산재로 인해 평균 기온이 낮아진다. 1991년 분화한 필리핀 피나투보 화산의 경우 지구 평균 기온을 0.3℃나 냉각시켰고, 3년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