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리서치"(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신선한 원유가 쓰일 거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은 이 조사 결과에 배신감을 느꼈다. 컨슈머리서치는 이 표기가 법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소비자들이 오해하지 않도록 명확한 표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금도 표시 기준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제품명에 ‘우유’가 들어갈 경우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두통을 일으킨다. 노아케스 교수가 검토한 논문은 2012년 국제학술지 ‘파이토테라피 리서치(Phyto-therapy Research)’에 실린 양미희 숙명여대 약학과 교수팀의 연구 결과였다. 양 교수팀은 배가 ADH와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아세트알데히드를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한다)의 활성을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오류 검출 기술인 ‘Inferbo’ 분석기 기술이 페이스북에 도입되면서 ‘페이스북 리서치’ 홈페이지의 커버를 장식하며 세계의 이목을 끌기도 했다. ● 교육 프로그램 - 체계적이고 통일성 있는 커리큘럼 컴퓨터공학부의 최대 장점 중 하나는 1~4학년의 모든 학생에게 컴퓨터의 기본 원리와 핵심 ... ...
- [과학뉴스] 바이러스로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높여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 2018년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면역항암제로도 불리는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 발현을 억제하는 작용을 막는 암 치료제로,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들의 연구 주제가 바로 이 치료제였다. 하지만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애스트로보틱의 시니어 리서치과학자인 앤드류 호르슐러는 “NASA와 28건의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있다”며 “랜더를 제작하는 기술뿐 아니라 랜더를 정확히 착륙시키는 기술,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 기초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하고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엔지니어도 있어요. 리서치 디벨로퍼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리서치 엔지니어는 머신러닝을 바둑과 접목한 알파고처럼 연구 결과를 실생활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요. ● 수학자 홀린 인공지능의 매력 김 기자 : 수학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는데, 갑자기 AI 연구를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해안에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을 검출해 국제학술지 ‘워터 리서치(Water Research)’ 2012년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doi:10.1016/j.watres.2012.04.001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양성 세균의 일종으로 공기가 있는 곳에서 자라는 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피부와 코 안(비강) 표면에 . ...
- Part 3. 인공지능으로 똑똑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나아가 사람의 동작을 읽는 엘리베이터도 있어요. 미국 워싱턴주에있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센터의 엘리베이터는 사람들이 타려고 할 때 어떤 동작을 하는지 알고 있어요. 그래서 어떤 사람이 엘리베이터 앞으로 왔을 때 타려는 동작을 하면 알아서 엘리베이터가 내려오지요. 사람의 행동을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많이 저장할 수 있어 얼굴 인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랩 아시아(MSRA)에서 100개 층이 넘는 사물 인식 AI(Residual Network)를 개발했다. 기존 알고리즘으로 특징값을 1000개쯤 외웠다면, AI는 수백 만 개 이상, 거의 무한하게 외울 수 있다. 인간의 뇌가 알아채지 못하는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논문들이 급증하면서 2016년 천체물리학 분야의 가장 ‘핫’한 연구로 떠올랐다. 리서치 프론트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야의 핵심 논문 42편 중 27편이 플랑크 위성의 2013년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다.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우주의 팽창률, 허블 상수 등 WMAP이 기존에 얻은 우주론적 매개 변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