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아이디어도 제공했다. 라부아지에는 이들의 공로를 잊지 않았다. 라부아지에는 그가 쓴
가장
중요한 두 논문에서 장비 제작자 플레이스와 세귄을 공동 저자 또는 제1 저자로 넣었다. 라부아지에의 경쟁자들이었던 프리스틀리, 셸레 역시 그들이 실험했던 주변 지역의 장비 제작자들에게 크게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고틀란드 섬에서 세계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경연 대회가 열렸어요. 우승자는 호주에 사는 캐슬린 머레이였어요. 캐슬린의 잔디밭은 반디쿠트라는 동물이 여기저기 땅굴을 파둔 흔적이 역력했죠. 이 대회는 고틀란드 섬에 가뭄이 지속되자 물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2022년 처음 시작됐어요.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전 세계에서 발병률이
가장
높은 암 중의 하나야. 그런데 소변을 연료로 쓰면서 방광암을 치료하는 나노로봇이 등장했다고 해. 나 일리가 취재를 다녀왔어! 자기소개를 부탁해!안녕, 나는 방광을 돌아다니는 나노로봇이야. 나노라는 이름으로 알 수 있듯이 nm(나노미터)●에서 mm(밀리미터) 사이의 ... ...
[기획] 풍선껌 크게 불기 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었고, 풍선껌을 얼굴만 하게 커다란 크기로 분 참가자도 있었어요. 이번 대회에서
가장
크게 부푼 풍선껌의 기록은 지름 23.8cm였습니다. 우승자 남기현 씨는 “20강부터 결승전까지 불면서 실력이 점점 늘었다”며 “풍선껌을 부는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롯데웰푸드의 껌을 ... ...
(광고)소니 더 헤지혹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빽빽하게 박혀 있어요. 고슴도치는 위협을 느낄 때 몸을 말아 웅크려요. 신체 중
가장
약한 부위인 배와 가슴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천적에게 위협받을 때 반사적으로 얼굴과 배 부분은 감추고 가시를 날카롭게 세워서 방어해요. 원래는 방어가 목적인 웅크린 자세를 소닉은 공격으로 활용하는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널리 쓰이는 소수점 체계는 중세 유럽에서 시작됐다. 지금까지 소수점이 사용된
가장
빠른 용례는 1593년, 독일 예수회의 천문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가 삼각법을 계산하기 위해 만든 표로 알려져 있었다. 삼각법의 역사를 연구하던 브루멜렌 교수는 1440년대 이탈리아의 궁정 점성가이자 수학, ...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자료 등을 통해 기상 변화를 관측하고, 여러 기상 변수를 고려한 수치예보 모형을 이용해
가장
가능성이 큰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기상청에서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방정식을 조금씩 변화시킨 여러 가지 모형을 한꺼번에 사용하는 ‘앙상블’이라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러 모형에서 ... ...
전염병 방역에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예측하는 모형을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사람, 동물을 막론하고 전염병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수학 모형인 ‘SIR 모형’이다. 이들은 SIR 모형을 이용해 1905년 인도 뭄바이와 1665년 영국의 한 마을에서 발생한 홍역으로 사망한 사람의 수를 정확히 예측했다. SIR 모형에서는 사람의 질병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brain-Computer Interface)를
가장
먼저 활용하는 분야는 의학이다. 뉴럴링크의 설립자 일론 머스크도 시각장애인에게 시각을 제공하는 ‘바이오닉 비전’을 중요한 목표로 제시했을 정도다.오늘날 의학계에서 BCI 기술은 마비 환자의 거동을 돕고, 의사소통의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관리해야 하는 다양한 이유를 살펴봤다. 이제 마지막으로 소개할 것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다. 바로 ‘오래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다. 당뇨병은 췌도 속 베타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며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이는 베타세포를 많이 사용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동안 당뇨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