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형
부문
타입
양식
형식
품종
장르
d라이브러리
"
종류
"(으)로 총 4,5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06
빠르다. 발효종을 넣은 반죽은 발효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 그 대신 발효 미생물
종류
가 다양하기 때문에 맛과 향기가 더욱 다양해진다. 특히 유산균이 젖산을 만들기 때문에 생이스트를 넣은 반죽보다 시큼한 맛이 난다.한편 베이킹파우더와 베이킹소다 같은 화학팽창제는 반죽을 발효시키지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직접 만들고 조종해 보는 짜릿함! 나만의 ‘드론’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드론부터 사람이 타서 전쟁과 자연재해 현장에 출동할 수 있는 거대 드론까지 수많은
종류
가 개발되고 있지요.기자단 친구들은 직접 조립을 하는 것은 물론, 색칠해서 내 맘대로 꾸밀 수 있는 드론을 만들었어요. 드론과 스마트폰을 블루투스로 연결하면, 조종기가 없어도 조종할 수 있답니다. 비법 ... ...
비법 대공개! 대통령 메이커의 선거 필승 전략
수학동아
l
201705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차 교수는 거짓 소문과 진실에서 자주 나타나는 단어의
종류
와 각각이 인터넷에서 퍼지는 양상이 서로 다르다는 걸 이용했어요. 소문이 발생한 초기에는 단어의 차이가, 나중에는 퍼지는 양상의 차이가 크다는 것도 소문 판별 알고리즘에 반영했습니다.가짜뉴스를 없앨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705
뜻이다.매일 전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나노기술의 활용분야 만큼이나 나노기술의
종류
도 광범위하지만 근본 원리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깎기와 쌓기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알면 나노기술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705
각각 사용해 아동에게 따돌림 당한 경험이 있는지 묻는 실험을 할 예정이다.센서의
종류
와 배치, 데이터 처리 방법을 최적화하는 연구도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는 로봇을 원격 조종하는 사람이 아동의 표정이나 행동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베델 교수는 “상용 센서는 대부분 성인을 대상으로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
과학동아
l
201705
보존하기 위해 국립공원을 지 정하기도 했지요. 이후부터 2012년 당시까지는 동물을
종류
별로 가둬놓는 방식이 일반화됐습니다. 그는 2012년 이후부터 2050년까지는 동물원의 구조 를 바꾸거나 가상현실, 로봇 등 기술을 이용해 실제 동 물을 괴롭히지 않는 방식을 생각했습니다. 사자나 호랑 이 같은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
과학동아
l
201705
미나 자신과 크게 다른 사람들이 아니었다. 세속적이고 얄팍한 쾌락주의자들. 어떤
종류
의 종교적 집착도 경멸하는 현실주의자들. 어떤 미나는 보통보다 게을렀고 어떤 미나는 보통보다 탐욕스러웠고 어떤 미나는 보통보다 화가 나 있었고 어떤 미나는 보통보다 야심가였지만 그래도 기본 틀에서 ... ...
[과학뉴스] 신발끈을 푸는 보이지 않는 손의 비밀
과학동아
l
201705
충돌하는 진동자에 연결해서 앞뒤로 흔들며 실험한 결과, 걷는 동안 작용하는 두
종류
의 힘이 매듭을 풀어지게 만드는 것도 확인했다. 특히 신발끈 끝에 물체를 달아서 무게가 커질수록 풀어지는 빈도가 많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데일리-다이아몬드 연구원은 “매듭에 직접 작용하는 힘과 끈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
과학동아
l
201705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우리가 사실이 라고 말하는 것은 여러
종류
의 관련 증거에 입각해 가장 합리적으로 믿을 만한 내용이라는 ‘판단 사실’에 가까운 데, 인공지능은 판단 사실을 마치 실재 사실인 것처럼 오도하기 쉽다”며 “대부분의 (인간) 전문가도 오도할 수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
과학동아
l
201705
게 가장 어렵다”며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이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많은
종류
의 새가 나는 패턴을 모두 입력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확률을 높여갈 계획이다. 오 선임연구원도 “실제 생물체로 실험을 해야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