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4,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04
- 누룩곰팡이가 들어 있다. 전통누룩에서 발굴한 곰팡이가 들어가 있기는 하지만 한 종류만 살고 있어 전통누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선임연구원은 “진짜 전통누룩을 만들려면 여러 미생물을 일정한 배합으로 길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맛있는 술을 만드는 미생물의 ‘꿀’ 조합을 알아내고, 이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04
- 책이나 듣고 싶은 라디오 채널을 고르는 행동부터 유전자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모든 종류의 선택을 설명할 수 있었다. 1세기에 걸친 진화생물학 역사를 통틀어 그 어떤 학자도 생각하지 못한 경이로운 등식이었다.1968년 9월, 프라이스는 미국에 있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보냈다. 『아주 놀랍고 전혀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04
- 첫 단추는 데이터 수집이다. 적·녹·청색 가시광선과 형광, 적외선, 다중분광, 3D 등 5가지 종류의 특징을 가진 카메라로 식물의 생장과정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영해 얻은 이미지를 데이터화한다. 임교수는 “사람 몸의 내부 상태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진단하는 것처럼, 식물에 상처를 내지 않고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04
- 상상하지 못했던, 두 물리학이 통합되는 현장에 서게 됐다.키타예프 주기율표에서는 세 종류의 불연속변환에 대해 1차원부터 모든 차원에서 대칭성을 기준으로 물질(최소 단위 행렬)을 분류할 수 있다(74쪽 박스 기사 참고). 시간(T)과 전하(C), 비대칭 반전(S)에 대해서 최소 단위 행렬은 각각 대칭성 ... ...
- [쇼킹 사이언스] 알록달록 무지개 산이 있다?! 단하지형어린이과학동아 l201703
- 이 지역에는 백악기 시대인 8000만 년 전부터 퇴적물이 쌓이기 시작했답니다.퇴적물의 종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져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붉은색 퇴적층은 산화된 철이 풍부한 적철광이 쌓여 만들어졌죠. 또 모래와 점토가 많이 섞인 퇴적층은 노란색이 됐고, 해양에서 발견되는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3
- 키울 수 있다는 자신은 있었다. 앵무새를 키우기로 결정한 날 저녁에는 앵무새의 수명과 종류 등 앵무새에 대해 많은 것을 검색했다. 하지만 그건 정말 몰랐다. 내 앵무새가 ‘사이테스 부속서Ⅱ’에 속한다는 사실을 말이다. 그런데 이게 뭐지?내 앵무새가 사이테스 종이라고?나리를 데려온 뒤, ... ...
- [Career] 꿈의 연구실에서 만든 꿈의 다이오드과학동아 l201703
-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특히 이번 연구는 ‘실리콘 반도체의 경우 금속의 종류에 관계 없이 접합면의 전기적 특성이 거의 같다’는 이론적 예측을 확인했다는 의미도 있다. 이 때 연구원들이 만든 측정시스템이 큰 역할을 했다. 다이오드의 전자에너지 장벽을 측정해 이론을 검증한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03
- 만들었다. 태 국에서는 ‘룩블라콥’이라고 부르는 단단한 주머 니인데, 여러 종류의 허브를 가루로 만들고, 천 으로 싸서 만든다. 이 마사지볼을 찜통에 넣어 뜨겁게 만든 뒤 몸의 뻐근한 곳을 두드리면 뭉 친 근육이 풀린다고 한다.탐사대원들이 만든 마사지볼에는 총 여덟 종 류의 허브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3
- 받은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각각의 유전자마다 엄마 버전과 아빠 버전 두 가지 종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대립유전자(allele)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세포는 엄마로부터 받은 유전자와 아빠로부터 받은 유전자를 구별하지 못하고 두 개 모두를 발현시킵니다. 그러나 여기에 예외가 있는데요. ... ...
- [Culture] 플레이 전략 3과학동아 l201703
- 개발자들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포켓몬이 나타나는 장소와 종류, 빈도를 설정했다. 모든 종류의 포켓몬이 곳곳에서 비슷한 확률로 나타나면 재미가 떨어지기 때문에, 각 지역의 지리와 기후, 식생, 그리고 밤낮에 따라 성질이 비슷한 포켓몬이 나오도록 설정했다. 예를 들면 호숫가에서는 발챙이나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