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주제"(으)로 총 1,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소식 1,2]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수원청개구리를 아시나요?수원청개구리는 1980년 경기 수원시에서 일본의 생물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됐어요. 그래서 종명도 ‘수원엔시스’지요.수원청개구리는 다 자라도 몸체가 3cm에 이를만큼 몸집이 매우 작은 편이에요. 그리고 ‘뺍뺍뺍’하고 빠르게 저음을 내는 청개구리와 달리, 수원청개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2
-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50분, 박승래 충남 당진소방서 현장지휘팀장은 경기 평택소방서의 연락을 받고 서해대교로 출동했다. 최초 화재 신고가 평택소방서로 접수된 지 40여 분 만이었다. 합동작전이 필요할 만큼 큰 화재였다. 6시 58분, 서해대교의 상판과 주탑을 연결하는 가장 큰 케이블이 화마에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12
- 여전히 기억하고 있다. 그 날 점심에 어디서 무얼 먹었는지. 국가적 재난은 모든 국민에게 트라우마로 남는다.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년 사이 큰 재난 여럿을 겪은 대한민국 사회가,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다.먼저 ...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11
- 뉴질랜드 오타고대 연구팀은 과학자들이 주로 학계 동향과 자신의 연구 결과를 동료들과 공유하기 위해 트위터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다고 ‘플로스원(Plos one)’ 10월 12일자에 발표했다.과학커뮤니케이션센터 킴벌리 콜린 교수팀은 31개국에서 박사과정 이하인 젊은 과학자 587명을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11
- [왼쪽부터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프레이저 스토더트 교수, 장피에르 소바주 교수다. 노벨상의 상금 800만 크로나(약 10억 4000만 원)는 세 명이 나눠 갖는다.]“전자 현미경으로나 볼 수 있는 아주 작은, 하지만 명확하게 작동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런 기계는 유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11
- 한국에도 우주를 꿈꾸는 과학자와 공학자가 있다. 비록 우주 선진국들처럼 유인 발사체를 보유하지도 못했고 우주정거장을 띄운 적도 없지만, 그들은 지상에 발을 디딘 채 하늘 너머를 꿈꿨다. 두 해 전, 그 과학자와 공학자 23명의 꿈에 동참한적이 있다. 1년 동안 화성 유인 탐사를 주제로 ‘과학 ...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11
-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린 대중과학강연 ‘과학동아 지진 카페’에서 강연자로 나선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가 말했다. 이 교수는 1980년대에, 한반도 남부를 가 ... ...
- [수학뉴스] 수학자 족보가 있다!수학동아 l201610
- 1990년대 초, 미국수학학회는 역사상 수학자라고 불린 모든 사람의 기록을 정리하는 ‘수학자 계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수학자의 연구 주제와 제자는 누구인지, 제자의 제자는 누구인지를 추적해 정리했습니다. 수학을 이루는 분야가 누구에 의해 시작돼서 누구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돼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10
- 수학은 천재가 오랫동안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혼자 힘으로 멋지게 해결하면서 발전하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다. 영국의 저명한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가 약 350년 동안 난제였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남몰래 7년간 연구한 끝에 해결한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수학자들은 오히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한국 정부에서 과학자들에게 주는 연구비 규모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 됐는데, 한국의 연구비 생태는 어떤 상황일까. 1파트에서 살펴 본 ‘노벨 생태계’처럼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