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주제"(으)로 총 1,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레고로 하는 로봇 코딩 교육“그렇게 하면 컬러센서가 작동하기 어려워! 서보모터 파워를 좀 더 올리는 게 어때?”“각도는 맞는데, 내려치는 힘이 부족해. 타이어 두 개를 달아 볼까?”지난 4개월 동안 경기 지역 300여 명의 학생들은 SK하이닉스의 지원으로 로봇 교육을 받았어요. 레고 로봇은 세계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2016 UN청소년환경총회’가 지난 10월 1일부터 3일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열렸어요. 300여 명의 청소년 대표단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에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과학 동아리 ‘리틀 뉴턴’ 학생들과는 지난해부터 함께 민물고기 탐사도 다니고, 과학축제 부스 운영도 하고, 과학대회를 준비해 큰 상도 받았답니다. 2년째 거의 매일 같이 과학실에 모여 함께 여러 활동을 계획하고, 매주 함께 전국을 누비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서로 친해질 수밖에 없지요 ... ...
- [현장취재] 왕귀뚜라미 대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18
- “올해 올림픽에서 우리나라가 펜싱 금메달을 땄죠? 그런데 왕귀뚜라미도 더듬이로 펜싱을 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의 말에 지사탐 대원들이 웃음을 터뜨렸어요. 이번 심화교육의 주제는 ‘동물들의 공격행동’이에요.“동물들은 어떨 때 싸움을 할까요?” ... ...
- [현장취재] 북한산의 생물다양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7월 23일 밤 10시 경, 고요하던 북한산국립공원에 큰 웃음소리가 울려퍼졌어요. 무슨 일일까요? 힌트는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가 열렸단 사실! 깊은 밤, 그곳에서는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숲 캠프란?올해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에는 160명의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우리가 여행을 갈 때 타는 비행기를 ‘여객기’라고 불러요. 여객기를 만드는 회사에는 유럽의 에어버스와 미국의 보잉, 이렇게 두 곳이 손꼽히지요. 이 중 에어버스는 매년 비행기 제조 회사 관계자와 과학자, 항공기 전문 기자가 한자리에 모여 최신 비행기 기술을 선보이고 토론하는 ‘이노베이 ... ...
- [과학뉴스] 국제 안보(International Security)과학동아 l201612
- ‘인구의 3.5%가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한 저항 운동은 실패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 화제다. 이 주장은 ‘시민운동이 통하는 이유(Why Civil Resistance Works)’라는 제목으로 2008년 ‘국제 안보’에 처음 소개됐다(이후 유명해져 4년 뒤 책으로도 출판됐다).1976년 창간된 국제 안보는 현재 국제 관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12
- 2017년은 뉴턴의 ‘프린피키아’가 출간된 지 330주년이 되는 해다.출간 당시 뉴턴을 지지하는 과학자들은 그의 새로운 물리학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여기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도 포함돼 있다. 바로 소수의 여성 과학자들이다.당시 과학은 여전히 남성이 주도하는 학문이었지만, 그럼에도 여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12
- 과학동아가 개최하는 과학 강연 및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가 11월 12일 토요일 서울 용산 동아시아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매년 10월 초 발표되는 노벨상 해설. 특히 올해 물리학상 수상 주제인 ‘2차원 물질의 상전이’라는 주제가 이해하기 어려워, 이를 쉽게 이해할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12
- “독일에 있는 북한 대사관에 여러 번 비자신청을 했습니다. 번번이 거절하더군요. 안되겠다 싶어 중국 베이징에 있는 북한 대사관으로 직접 갔죠. 10분 만에 비자를 얻어 곧바로 평양으로 날아갈 수 있었습니다. 1993년의 일입니다.”독일의 대표 화산학자인 한스 울리히 슈밍케 독일 킬대 화산학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