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d라이브러리
"
불확정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02
어떤 물리량들은 동시에 원하는 정밀도로 그 값을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불확정
성 원리를 제안했다보어는 광자가 때로는 입자처럼 때로는 파동처럼 행동하는 듯이 보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상보성 원리를 도입했다 자연세계 특히 미시세계를 볼 때에는 A라는 측면과 B라는 측면을 볼 수 ... ...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02
지배하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려는 모더니즘의 종말을 선언한다. 하이젠베르크의 '
불확정
성의 원리'와 괴델의 '불완전성의 원리' 로 패배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모더니즘은 20세기 마지막 혁명인 '카오스 이론' 을 통해 여지없이 무너졌다. 영화 '쥬라기 공원'은 막강한 과학의 힘을 어디다 써야 ... ...
우주팽창은 엔트로피 증가현상
과학동아
l
199412
그러므로 극대(極大) 세계를 다루는 우주의 진화모습이란 극미(極微)의 세계를 다루는 '
불확정
성 원리'에 의해 설명된다는 이상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우리는 아직도 왜 우리 우주가 그런 재미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09
그러나 중요한 수학 원리는 철학적이다. 고전 물리학에서 양자역학으로 비약할 때 '
불확정
성 원리'의 철학이 제기됐다.고전 논리(Yes, No의 2차적인 것)에서 퍼지를 전개하면서 퍼지철학이 대두될 것이 기대된다. 특히 인식론의 애매성 문제가 반영될 것이다. 기계와 인간의 관계를 퍼지이론으로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01
관찰에서의 불완전성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그러나 양자역학에서의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원리는 미시적 양자 세계에서의 근원적 비예측성(unpredictability)을 강조했으며 결정론적 세계관의 몰락을 가져왔다.그러나 사실 비예측성은 우리 주위의 많은 거시적 자연현상들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러한 ... ...
20세기 최대 과학자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304
과학자는 왓슨과 크릭(DNA이중나선구조발견) 플레밍(페니실린발견) 하이젠베르크(
불확정
성의 원리) 퀴리부인(라듐발견) 보어 (양자역학에 기여) 폰노이만(컴퓨터의 기본원리확립) 폰브라운(로켓개발) 플랑크(플랑크상수발견) 쇼클리(트랜지스터발명)등의 순으로 거론 됐다.과학저널리스트들은 20세기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02
파괴당하는 쓰라림을 안겨주었다. 특별한 전자의 지위, 파동도 입자도 아닌 새로운 실체,
불확정
성. 이로 인해 이제 아원자의 세계에서 고전물리학은 사라지는 노병의 역할 밖에는 할 수 없었고, 그 뒤에는 수수께끼 같은 새로운 개념들만 남았다.수수께끼만을 만들어 오던 원자의 모양은 1926~7년에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06
일정하다는 것은 바로 우주초기에 인플레이션 현상이 있었고 물질의 불균일성이 이 당시
불확정
성의 원리에 의해 야기됐을 경우 예측되는 결과인 것이다. 이 가설은 이론적으로 간단하고 자연스럽다는 이유로 20여년전부터 선호돼 왔는데 그 정당성이 코비에 의해 최초로 입증된 것이다. 이렇게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10
우리의 예언 능력은 어떤 양은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고 단지 확률 분포로 예측 가능한
불확정
성 원리에 의존할지 모른다. 또한 방정식을 푸는 것이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지전능으로부터 아직도 먼 거리에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06
진공은 입자가 직접 관측되지 않는 상태지만
불확정
성 원리에 따라 어느 최소한도의
불확정
성(요동)이 존재한다. 이러한 진공의 요동은 수많은 가상적인 입자의 쌍(입자와 그 반대되는 입자)이 순식간에 생겼다가 또 서로 상쇄(0→+-→0)되는 과정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 입자의 쌍은 실제 입자처럼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