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사
d라이브러리
"
과학사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05
남녀 차별 이데올로기 때문에 편향돼 있던 과학 이론을 바로잡는데 큰 기여를 했다.
과학사
학자 에블린 폭스 켈러는 1983년 81세의 나이에 단독으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바버라 맥클린톡(1902~1992) 전기를 통해 여성과학자의 독특한 경험이 과학의 새로운 발견으로 어떻게 이어질 수 있는가를 ... ...
초등학생도 하는 조선식 제곱근 풀이법
과학동아
l
200703
중국과 다른 조선수학의 독특한 전통 아래서 꽃피울 수 있었다는 점을 밝혀 2월에 나온
과학사
분야의 국제학술지(Science in Context)에발표했다. 홍길주라는 19세기 조선수학자가 세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셈이다. 제곱근*현재 수학교과서에서 a²의 제곱근은 ±a라고 배운다. 하지만 전통수학에서는 ... ...
과학자와 인문학자의 모임 eum이음
과학동아
l
200701
추억’을 발표한 시인이다.전 박사는 학부에서 천문학을 공부한 뒤 한국
과학사
를 전공한
과학사
학자다.격주로 모임을 가질 때면 대화가 끊이질 않는다. 한쪽에서 최 교수가 진화경제학을 얘기하며 인간 개인의 본성을 따지고 들어가면 다른 한쪽에서는 김 교수가 역사학이라는 거대한 주제를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12
역임하면서 우수한 자연
과학사
관련서를 많이 썼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작이 이 《대자연
과학사
》이다혈전 등으로 인해 대정맥 내강(內腔)이 협착되어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폐색이 상대정맥에 있는 것을 상대정맥폐색증후군이라 하고 하대정맥에 있는 것을 하대정맥막양폐색증 ... ...
특집Ⅱ 노벨상 수상자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611
더블린의 고등연구소로 갔다.슈뢰딩거는 15년간 아일랜드에 머무르면서 과학철학과
과학사
를 연구했다. 이 시절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얇지만 중요한 책을 냈다. 이 책에서 그는 생명의 흐름에는 중요한 코드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나중에 발견된 DNA(디옥시리보핵산)의 존재를 예측한 ... ...
차원이 다른 과학 길잡이
과학동아
l
200604
돌턴에 이르는 과학적 사고가 어떤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과정을 통해 나온 것인지
과학사
와 일상을 넘나들며 친절하게 설명한다.이들은 “쓰나미도 다루지 않는 과학교과서는 가라”고 일갈한다. 과학교과서도 사회의 변화상을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행성의 중력을 이용해 ... ...
발견자와 후원자, 갈릴레이와 메디치
과학동아
l
200604
다르지 않으며 지상과 동일한 환경이라는 사실이 눈앞에 펼쳐진 것이다. 이 깨달음은
과학사
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열쇠가 되었다.새로운 세상에 경이를 느낀 갈릴레이는 천체망원경을 사용해 하늘 곳곳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그로 인해 천문학은 큰 진전을 이룬다.1610년 갈릴레이는 천체망원경으로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02
역임하면서 우수한 자연
과학사
관련서를 많이 썼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작이 이 《대자연
과학사
》이다혈전 등으로 인해 대정맥 내강(內腔)이 협착되어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폐색이 상대정맥에 있는 것을 상대정맥폐색증후군이라 하고 하대정맥에 있는 것을 하대정맥막양폐색증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02
1846년 8번째 행성인 해왕성의 발견은 그 존재와 위치가 천왕성의 궤도운동에서 예측됐던
과학사
의 기념비적 사건이었다. 그러나 해왕성의 발견으로도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천왕성의 궤도 오차 때문에 그 후 9번째 행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줄기차게 이어졌다.20세기 초 이 대열에 뛰어든 미국의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01
창간되었다.네이처는 과학의 모든 분야를 다루고 있지만 특히 생물과학 분야에서
과학사
에 길이 남는 논문을 많이 실었다. 다윈뿐 아니라 현대 생명공학 연구의 출발점으로 기록되는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구조(1953), 호킹의 블랙홀 이론(1976)과 윌머트 박사의 체세포 복제양 돌리(1997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