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사
d라이브러리
"
과학사
"(으)로 총 2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12
“우후우후우후후∼” 제인 구달 박사는 강연을 시작할 때 언제나 청중들에게 이렇게 ‘팬트 후트’(pant hoot)로 첫인사를 한다. 팬트 후트는 침팬지들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서로의 존재를 알리는 소리로서 침팬지마다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 ...
진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11
다윈의 식탁 셋째날이다. 예고된 대로 오늘은 진화의 속도에 관한 논쟁이 벌어질 것이다. 이 주제가 선택된데는 몇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굴드는 진화의 속도와 양상에 대한 그의 독특한 이론 때문에 학계에 스타로 떠올랐었다. 그는 1972년에 동료인 나일즈 엘드리지와 함께 다윈의 점진론에 대한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11
정한 적이 있다. 불과 이틀 차이지만 결코 작은 차이로 느껴지지 않는다.또 우리의
과학사
를 세계 속에서 바라보는 큰 안목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 싶다. 한국 역사는 특히 19세기 이후는 세계사의 한 부분일 수밖에 없다.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역사를 보는 안목을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10
어젯밤 칠레산 와인의 향기가 채 가시기도 전에 다윈의 식탁 둘째 날이 밝았다. 오늘은 “이타적인 행동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열띤 토론이 전개될 것이다. 이 쟁점은 좀더 전문적으로는 “자연선택이 어떤 수준에서 작용하는가?”라는 물음이 될 수 있다. ‘이기적 유전자 ... ...
강간도 적응인가
과학동아
l
200309
2002년 5월 20일, 나에게 한통의 e메일이 날아왔다. 영국 옥스퍼드대의 진화생물학자 윌리엄 해밀턴 박사가 아프리카 콩고에서 말라리아에 걸려 3일만에 운명을 달리했다는 부고였다. 내 눈을 의심했지만 조만간 이 소식은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알려지고 있었다. 장례식은 5일 후에 영국 옥스퍼드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06
가입시켰다. 같은 취지에서 1995년 과학철학회도 만들었다.한편 송 교수는 아직까지
과학사
학자·과학철학자들 다수가 외면하는 과학의 사회적 측면을 개척하고자 젊은이들을 독려해왔다. 3년 전 그는 한국 대표로 일본, 중국의 학자와 함께 베이징에 모여 ‘동아시아 STS(과학기술과 사회)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06
역임하면서 우수한 자연
과학사
관련서를 많이 썼는데, 그 중에서도 대표작이 이 《대자연
과학사
》이다혈전 등으로 인해 대정맥 내강(內腔)이 협착되어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 폐색이 상대정맥에 있는 것을 상대정맥폐색증후군이라 하고 하대정맥에 있는 것을 하대정맥막양폐색증 ... ...
씨없는 수박의 개발자는 우장춘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04
그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평가가 가능하다. 즉 과학적 이해와 역사적안목이 함께 녹아든
과학사
적 접근방법을 통해 실제의 사실을 그대로 그려낼 수 있는 것이다. 이제는 한국의 과학기술 역사를 되돌아보며 우리의 과학기술과과학인물을 제대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한층 더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04
정도다.두 젊은이는 전공 분야는 달랐지만 아주 영리하고 뛰어났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과학사
에 영원히 남을 협력 관계를 구축한 것도 바로 그들의 뛰어남 때문이었다. 미국 시카고대에서 조류학을 전공한 뒤 인디애나대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왓슨은 코펜하겐에서 생화학 연구를 할 수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4
동안에도 자연사는 여전히 넓은 의미의 생태학 또는 야외생물학으로 꾸준히 발전해왔다.
과학사
학자에 따라, 그리고 자신의 전공분야에 따라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겠지만, 20세기 생물학은 크게 보아 자연사, 유전학, 실험발생학의 세분야로 나뉘어 발전했다.진화와 발생이라는 통합 용매이런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