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06.12
포가스 모던 미도우 최고경영자는 미국 경제지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이 기술로
우리
는 기존 가죽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80% 적은 가죽을 만들었다”며 “동물과 (가죽 가공에 사용되는) 석유 화학 제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피도 연구실에서 구현됐다. 미국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밀 공유하지는 않지만 서로 배우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6.12
눈에 띄는 백혈병에서 가장 효과적이지만 결핵과 코로나19 정확도도 매우 높았다”며 “
우리
연구는 떼 학습이 여러 다른 데이터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고 말했다. 슐츠 교수는 “떼 학습이 의학 연구와 기타 데이터 분야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이번 연구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있었다. 현대과학의 태동기에
우리
가 비극적인 역사를 관통했었다는 사실은 20세기 내내
우리
에게 그 후과를 남겼다. 반면 그런 전후사정에도 100년 뒤에는 G7에 이를 정도의 나라가 되었으니 이는 정말 기적 같은 일이라고도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에딩턴이 1919년 일식을 탐사하기 위해 찾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기술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는 지혜
2021.06.09
17세에 지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무늬만의 ‘안전성·환경성’에
우리
의 미래를 맡기겠다는 발상은 매우 위험한 것이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 ...
직계약 화이자 백신 65만회분 도착…505만회분 도입 완료
연합뉴스
l
2021.06.09
감염증(코로나19) 백신 65만회(32만5천명)분이 9일 새벽 국내로 들어왔다. 이 백신은
우리
정부가 화이자사와 직접 계약한 물량의 일부로, 이날 오전 1시께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직계약 화이자 백신은 총 6천600만회(3천300만명)분으로, 이 중 상반기 배정 물량은 700만회(350만명)분이다. 이날 ... ...
문 대통령 "추석모임 마스크 벗는 게 목표…9월까지 3600만명 1차 접종 끝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밝혔다. 문 대통령은 “방미 중 국내 기업이 모더나와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우리
나라는 세계적으로 안전성과 효과성을 인정받는 코로나 백신 4종을 생산하는 세계에서 보기 드문 국가가 되었다”며 “정부 차원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국내 백신 공급은 물론 백신 ... ...
백신 접종 100일 '효과는 증명, 그래도 갈 길 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교수는 “코로나19 전염을 완전히 막기 위해 백 85~90%의 집단면역이 필요하더라도
우리
는 그전에 더 빨리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며 방역수칙 준수의 생활화를 강조했다. 미국에서는 아예 '집단면역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립시치 교수와 에린 모더카이 미국 ... ...
[과학게시판] “미사일 족쇄 풀린 韓 로켓…우주개발 어떻게?” 긴급토론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5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인증시험이 본격 착수된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소재 나로우주센터의 제2발사대는 10월 예정된 누리호 본 발사를 위해 신규로 ... 인제대 일산백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발표한다. 정지영 머크 커머셜세일즈헤드는 ‘
우리
실험실은 안전한가?를 주제로 발표한다. ... ...
[프리미엄 리포트]전 세계 바다가 비어가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6.05
현재도 폐어구 투기는 금지되어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박 대표는 "만일
우리
가 물고기인데 폐어구가 널려 있어 마음 놓고 헤엄칠 수 없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각해본다"며 "물고기는 단순한 식사 거리가 아니라 바다 생태계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
는 왜 '미루기의 달인'이 되어가는가
2021.06.05
뿐 아니라 내일의 나 또한 보살피려 할 것이다. 필자를 포함해 미루기를 밥 먹듯 하는
우리
들에게는 어떤 인간도 완벽할 수 없다는 사실과 당연히 나 또한 그렇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 또 나를 밀어붙이고 착취해서 단기적인 성공을 노리기보다 미래의 나와 내 삶까지 돌보는 지혜가 필요한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