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결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네안데르탈인 Y염색체를 지닌
개체
는 생식력 또는 생존력이 떨어졌을 것이라는 가정은 ‘홀데인 법칙’과도 부합하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저명한 유전학자 존 홀데인이 1922년 한 논문에서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 ...
야생 호랑이 두 배로 증가 시킬 수 있는 방법은?
2016.04.09
한편 연구진은 “서식지의 보존 노력이 계속 이어진다면 향후 20년 안에 야생 호랑이의
개체
수는 현재의 세 배에 다다를 것”이라고 결론을 맺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 ...
우리 집 어디 갔어요? 살 집 잃은 청설모
2016.04.07
많이 작지요? 그래서인지 가끔 ‘외래종인 청설모가 토종인 다람쥐를 잡아 먹어서
개체
수가 많이 줄어들었다’는 잘못된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합니다. 청설모가 외래종도 아닐뿐더러 육식동물도 아닌데 왜 이런 이야기가 도는지 의문이네요. 물론 가끔 애벌레나 새알 같은 것을 먹기도 하지만 ... ...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
과학동아
l
2016.04.04
교수는 학술지 ‘생태와 진화 경향’에 기고한 리뷰 기사에서 처벌은 집단에 속한
개체
가 많을수록, 또 각자의 힘이 유사할수록 큰 힘을 발휘한다고 밝혔습니다(doi : 10.1016/j.tree.2011.12.004). 이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처벌이 ‘왕따’입니다. 동물의 협력은 서로 도움을 주고 받음으로써 서로가 이득을 ... ...
여기서 나가고야 말겠어! 탈출을 꿈꾸는 새끼 판다
2016.04.02
9~14kg이나 됩니다. 판다는 번식률이 낮은데다가 인간의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의 감소로
개체
수가 점점 줄어들어 멸종위기동물이 된지 오래입니다. 그런 판다의 주요 서식지인 중국 ‘쓰촨 자인언트 판다 서식지’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필자소개 ... ...
지카 바이러스 막을 ‘유전자 변형 모기’ 야생 방출 예정
포커스뉴스
l
2016.03.22
파나마 그리고 케이맨 제도에서 이뤄진 옥시텍의 이전 실험들은 이집트 숲 모기의
개체
수를 90% 이상 줄였다. 또한 살충제 같은 기존의 모기 살충법에 비해 30~50% 더 효율적이었다. 브라질 보건장관 페르로 멜로에 따르면, 브라질 정부와 협력하여 진행된 상파울루의 피라시카바 실험은 ... ...
나만 못살게 구는 상사 해결법
2016.03.13
연구에 의하면, 일군의 암탉 무리에서는 모이를 먼저 쪼는
개체
부터 가장 나중에 쪼는
개체
까지 순서가 정확하게 정해집니다. 따라서 서열의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더 좋은 모이를 먹을 수 있게 됩니다. 인간 사회에서 서열의 높은 곳에 오르고자 아귀다툼이 끊이지 않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 ...
태평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된장잠자리의 비행
2016.03.03
가계도를 만든 결과 우리나라의 된장잠자리 1마리와 인도의 1마리를 제외한 나머지
개체
들은 동일한 혈통으로 묶였다. 서식지가 멀리 떨어져 있는 만큼 서로 다른 유전적 특성을 보일 것이라는 예상을 뒤집은 것이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가 현재도 된장잠자리가 인도양이나 태평양을 건너 서로 ... ...
4미터 버마왕뱀과 싸운 남자
포커스뉴스
l
2016.03.02
대회는 플로리다 에버글레이즈 등에 서식하면서 지역 생태계를 파괴하는 버마왕뱀의
개체
수를 줄이는 게 목적이다. 버마왕뱀 수천 마리가 플로리다 야생에 살고 있을 것으로 당국은 추정한다. 1천 명 이상의 뱀 사냥꾼들이 경쟁한 이번 대회에서 가장 눈길을 끈 사람은 대니얼 모니즈. 뉴저지의 ... ...
야생 코뿔소의 사파리 투어車 공격…그 결과는?
동아닷컴
l
2016.02.26
집으로 돌아갔다”고 전했다. 남아프리카에 주로 분포하는 검은 코뿔소는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많이 줄어들어 멸종 위기 동물로 보호되고 있다. 몸무게 최대 1360kg의 검은 코뿔소는 몸집에 비해 매우 날렵한 편으로, 시속 55km 정도로 달릴 수 있어 위험한 동물로 여겨진다. 정민경 동아닷컴 기자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