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1
일
싱글
혼자
독신
단위
단원
d라이브러리
"
하나
"(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상도 많이 받았어요. 미국의 연극상인 드라마 데스크상 3번, 미국 4대 연예 상 중
하나
인 프라임타임 에미상 7번 등 수많은 수상과 영광을 안았어요. 이렇게 완성도 높은 공연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서커스 단원들 덕분이기도 해요. 이들 중 대부분은 대대로 태양의 서커스에서 곡예사를 한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2. 신박한 정리 기계 아이템 자동 분류기 만들기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레드스톤 횃불은 꺼져요. 그러면 호퍼3에는 신호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호퍼2의 아이템
하나
를 전달받아요. 그럼 다시 호퍼2의 아이템의 개수는 22개가 되고, 신호의 강도는 다시 1이 되지요. 결국 레드스톤 횃불이 다시 켜지고 호퍼3은 아이템을 받지 않습니다. 이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 ...
[시사기획] 인터넷은 누구의 것인가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프리 베이직스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는 한정되어 있다. 메타의 서비스 중
하나
인 페이스북이 아닌 다른 사이트를 보려 시도하면 접속이 제한되거나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정보기술(IT) 칼럼니스트인 마이크 엘간은 프리 베이직스로 접속할 수 있는 인터넷은 전체의 겨우 20억 분의 1에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가능성이 있었다. 표준모형을 넘어선 이론으로 각광받는 ‘초대칭 이론’에서는 힉스가
하나
가 아니라 다섯 가지나 존재한다고 예측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자들에겐 흥분되는 순간이었죠. 관련 논문만 500편가량 쏟아질 정도로 수많은 사람들이 이 데이터를 둘러싸고 연구를 했어요. 결국 데이터 ... ...
[과동키즈] "우주에 수직농장 세울 겁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내부 환경을 자동으로 조절해 자라는 식물에게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스마트폰 버튼
하나
만 누르면 원격으로 물을 줄 수 있다. 나는 이런 기술들을 공부해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농업 전문대인 연암대에서 일을 시작했다.꿈은 먼 미래에 생각지 못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다고 믿는다. ... ...
[DIGST@융복합 파트너] 유전체의 3차원 구조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DNA 단백질 모터유전자의 발현과 복제 그리고 DNA 구조를 담당하는 중요한 단백질 중
하나
가 코헤신(cohesin)이다. 코헤신은 모터 단백질이라고 도 불린다. 모터 단백질은 단백질 섬유나 DN A 등 자 를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단백질이다. 대표적으로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할 때 힘을 발생시키는 모터 ... ...
[통합과학 교과서] 맷돌 도난사건의 범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앞날이 캄캄해졌어요. 소금 장수의 어두운 낯빛을 본 꿀록은 소금 장수에게 지도를
하나
그려 건넸어요. 그곳은 암염이 많이 나온다는 산의 위치였답니다 ... ...
[특집] 체스문제, 직접 풀어 봐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두고 다시 퀸이 움직일 수 있는 경로를 보라색으로 색칠했어요. 가로줄과 세로줄에 퀸이
하나
씩만 놓여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은 스론은 d7에 세 번째 퀸을 두고 퀸의 경로를 노란색으로 색칠했지요. 체리와 스론은 나머지 5개의 퀸을 어디에 두었을까요? 나머지 퀸의 이동 경로도 색칠하면서퀸을 ... ...
[특집]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통계로 점치다!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지역, 새로운 기간에 열리는 2022 카타르 월드컵! 그만큼 새로운 것들이 가득한데요.
하나
씩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16강 진출과 우승팀을 점쳐 보겠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통계로 점치다!Part1. [특집] 새로운 기술로 더 편리하게 수학으로 더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 새는 어떻게 날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긴 날개를 뒤로 접어서 몸을 유선형으로 만든다.비행 특징가장 까다로운 비행 행동 중
하나
인 급강하를 통해 착륙하는 새로, 비행을 제어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최대 비행 속도는 약 90m/s로 매우 빠르다. ☆ 2022년 그레이엄 테일러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리생물학과 교수팀은 매가 횃대에 올라서기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