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며 “초대칭이론이나 암흑물질, 또는 새로운 입자가 이를 설명해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뮤온 자기모멘트 측정 실험은 총 5차까지 계획돼 있다. 이번 논문에는 전체 데이터의 6%에 해당하는 1차 실험결과만 담겨있고 2, 3차 실험은 분석 중, 4차 실험은 진행 중이다. ...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효능이 검증되고, 용법과 품질 관리의 기준이 명확한 식품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보약의 사전적 정의가 ‘인체의 생리기능의 부조현상에서 오는 신체의 허약상태를 도와주는 약물’이니, 밥이 보약이라는 말이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건강을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가장 기대하고 있다”며 “LHC에서 발견될 새로운 사실들은 인류의 지평을 계속해서 넓혀줄 것”이라고 말했다. [인포그래픽] LHC 발견한 가입자 59종 올해 3월 CERN은 LHC의 지난 10년 성과를 훑으며 최근 새로 관측한 테트라쿼크 4종을 포함해 총 59종의 강입자를 정리했다. 강입자는 표준모형 상 ...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가장 가까운 답을 내놓도록 돕는 개념이 확률이야.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 최적의 결과를 줄 수 있는 기대치를 계산하는 거지. 그럼 AI에서 확률을 어떻게 사용할까? 확률에서는 어떤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가진 ‘전체 공간(모집단)’과 일부 경우의 수만 포함하는 ‘표본 공간’을 ... ...
- [디지털리터러시] 웹사이트, URL, IP…. 이게 다 뭐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5화에서는 우리가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정보를 나누는 인터넷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물과 공기가 없는 데도 수많은 사람이 언제 어디서나 드나들며 정보를 주고받는 이곳!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8g을 초과하는 식품 늦게 일어나서, 배가 고프지 않아서, 살을 빼기 위해서, 밥을 챙겨줄 사람이 없어서….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만 18세 이하 아동, 청소년 100명 중 15명은 다양한 이유로 아침을 굶습니다. 학교가 방학일 땐 결식률이 100명 중 17명으로 더 높아지고, 특히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결정한다 확률의 기본 개념을 배웠으니 이제 AI가 불확실성을 줄이고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최적화된 답안을 찾는 과정을 살펴볼게. 앞에서 나온 확률 알고리듬을 정리한 내용이니까 복습하는 의미로 읽어보면 좋아! 1단계 | 데이터 해석하기 음성, 이미지, 텍스트 등의 데이터가 AI에 ... ...
- [게임디자인씽킹] 게임에 감각을 더하는 채도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게임들은 높은 채도의 그래픽 화면을 사용합니다. 사용자에게 선명하고 맑은 느낌을 줄 뿐 아니라 빠르고 경쾌한 느낌을 줘 게임에 몰입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에요.사람들의 마음을 평온하게 만들기 위해 그래픽의 채도를 낮춘 힐링게임 장르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플레로 게임즈가 2020년에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결국 원자의 자기 구조에 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는 스핀 탐침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전까지 스핀 탐침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었는데요.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이 방법을 이용해 스핀 탐침을 제작하고 있습니다.이 연구는 과학을 ... ...
- [과동키즈] 오랜 응시 끝에 종이에 피워낸 보편적인 꽃 한송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그리는 기술이나 식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아니다. 식물을 오랫동안 자세히 들여다볼 줄 아는 끈기와 인내심이다. 이 인내심은 결국 식물을 사랑하는 마음으로부터 비롯된다. 내게는 식물세밀화를 처음 그릴 때부터 썼던 관찰 노트가 있다. 특별한 식물이 그려져 있는 게 아니라 내 주변, 집 앞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