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사용되는 영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죠. AI는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합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와 복잡한 알고리듬을 바탕으로 AI가 학습하고 결과를 냅니다. 그런데 AI가 학습 과정에서 잘못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해킹 등 외부에서 방해를 받는 경우에는 ... ...
- [특집] 얼음 어벤저스, 더위를 꽁꽁 얼려라! 프로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com/magazine/view/N202107N002+ 놀이북 4쪽과 함께보세요! 여름왕국을 시원하게 만들어 줄 얼음 어벤저스가 왔다! 얼음 캐기 전문가 크리수도프, 마법의 얼음공주 엔사, 얼음 왕국의 왕 안다, 마음 따뜻한 눈사람 올나프와 함께 시원한 얼음의 세계로 “인투 디 언노운~!”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JOB터뷰] 종이로 꿈을 펼치는 페이퍼 아티스트 이재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자르고 붙이면 작품이 된다! 페이퍼 아트"이걸 다 종이로 만들었다고요? 저는 진짜 새인 줄 알았어요!”곧 날아오를 듯 생동감 넘치는 새들의 모습에 기자의 입이 떡 벌어졌어요. 이재혁 작가의 작품은 가까이 다가가서 봐야 비로소 종이 조각인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고 아름다웠죠.기자의 ... ...
- [특집] CBDC가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조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이더리움을 보관하는 전자 지갑의 정보를 알아야 한다. 친구는 거리낌 없이 정보를 알려줄 것이고 둘은 거래를 체결하게 된다. 이때부터 서로 주고받은 이더리움 전자지갑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하는 모든 거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은행 계좌에서 돈이 빠질 때 메일이나 문자 알림이 오는 ... ...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백돌의 비율은 33.3%(3개 중 1개)가 되죠. 후반부로 갈수록 흑돌과 백돌의 비율 차이는 점점 줄어들어 50%에 가까워지지만, 초반에는 흑돌의 비율이 월등히 높아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김규현 기사는 “흑돌을 가진 사람은 경기 초반에 비율상 우위를 차지하므로, 수비보다 공격하는 것이 승리에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청소 대신해 줌! 로봇 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물건을 집는 것은 물론, 손잡이를 돌려 문을 열고, 줄넘기 줄을 돌립니다. 땅을 파서 꽃을 심거나 분필로 그림을 그리는 정교한 작업도 할 수 있지요. 인터넷 연결을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이 로봇 팔을 조종할 수도 있어요. 덕분에 로봇개가 할 수 있는 기능이 더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일이 더 중요하다”며 “이 복원에 성공한다면 훼손된 지역이 무엇을 잃었는지 상기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모습이 진정한 야생 생태계의 모습인지 측정하는 데 유용한 기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사람에게는 수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함 작가님도 시나 동화를 쓰다 보면 한 줄도 쓸 수 없을 때가 있다고 합니다. 그럴 때 수학 문제를 풀면 잠시 문제의 논리에만 몰입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문제를 풀다가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하죠. 함 작가님은 때로는 수학의 난제에 대해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언어 의식 조사’에 따르면, 일상에서 사투리 사용 비중이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7%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지요. 사투리를 모으는 솔트룩스는 “이 사업을 통해 사투리가 사라지는 속도가 늦춰지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사투리가 있어야 표준어도 있는 거예요."김덕호(경북대학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받치는 힘이 균형을 이루면 기둥 위로 건물을 쌓을 수 있죠. 텐세그리티는 보 대신 줄로도 구조물을 세울 수 있으니 건축 재료를 적게 써요. 그만큼 돈을 아낄 수 있고 구조물이 가벼워진다는 장점이 있죠.텐세그리티를 본격적으로 현대 건축에 도입한 건축가는 미국의 건축가인 버크민스터 풀러와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