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멸종위기 등급 최하 단계인 안정(least concern)에 속한다”고 말했다. 9단계 등급 가운데
전문가
들이 개체 수에 대해 조사한 적이 없는 미평가(not evaluated)와, 자료가 부족해 정확히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자료부족(data deficient)을 제외하면 안정은 멸종 가능성이 가장 낮은 등급이다. 시 셰퍼드의 생각은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말했다. 이를 위해 도입된 평가 방식이 ‘피어리뷰(동료평가 방식)’다. 관련 분야
전문가
들이 모여 연구 내용의 독창성과 의미 등 정성적인 내용을 평가한다.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세계에서 피어리뷰 시스템이 가장 안정적이고 투명하게 구축된 것으로 평가 받는다. 국내에서는 최근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기침 심폐소생술(cough CPR)’이라는 단어가 인터넷에는 널리 퍼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
들은 의학적인 근거가 없는 궤변이라고 일축합니다. 심근경색으로 위급한 상황이 오면 강한 기침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의식과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심장이 아직 펌프 역할을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렇게 산불로 숲을 떠난 동물들이 다시 돌아오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려요.
전문가
들은 동물의 회복 속도는 식물의 회복 속도에 달려 있다고 말하고 있어요. 동물이 먹는 식물이 우선 건강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동물들의 회복은 산림 생태계 전체의 회복을 보여 주는 지표랍니다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등 동물에서 향료를 채집하는 일은 야생동물보호법으로 금지돼 있다. 그 대신
전문가
들은 화학적으로 분자를 합성해 인공 향을 만들어 향수에 넣는다. 천연 향료에 들어 있는 냄새 분자를 모두 찾아내 100% 동일하게 합성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화학자들은 무스콘이나 시베톤 같은 주요 향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방학동안 한 학기 분량의 세션 프로그램을 짠다. 내용은 다양하다. 뇌과학 관련분야
전문가
를 초청해 강연을 듣기도 하고, 영화를 보고 토론도 한다. 이날은 심리학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 4~6명으로 조를 짠 뒤 주어진 키워드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주제는 조별로 달랐다. ‘비행기’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문제를 풀고 있습니다. 첫 번째 의미 있는 결과는 1954년에 나왔습니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
가 모여 연구하는 미국 랜드연구소 소속 세 명의 수학자 조지 댄치그와 레이 풀커슨, 셀마 존슨이 미국의 49개 도시를 최소 이동거리로 도는 방법을 일반 계산기로 찾았지요. 이후 학자들은 이 방법을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오지 여행가 ‘ 바라프게 다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룰루랄라~♬ 신나는 여행~!”아름다운 계절을 즐기기 위해 걷기 여행을 떠나기로 한 썰렁홈즈. 오랜만에 떠나는 여행이라 짐을 싸면서 자신도 모르게 콧노래가 흘러나왔다. 막 출발하려던 순간, 갑자기 휴대전화가 울렸다.“썰렁홈즈님! 저는 여행가 ‘바라프게 다가마’예요. 오지 여행을 하고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장애 등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태양폭풍 발생 3일 전 정확히 예측”
전문가
들은 현재 태양 활동이 극소기에 접어들었다고 보고 있다. 태양은 약 11년 주기로 흑점 수가 늘어났다가 줄어들기를 반복하고, 태양 활동도 이 주기에 따라 강해졌다가 약해지기를 반복한다. 2012~2014년은 태양 활동이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장비를 대거 투입해 백두산을 모니터링하면 사전에 분화를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을까.
전문가
들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장비에서 수집한 신호가 화산 활동과 관련된 것은 맞지만, 신호가 잦거나 많다고 해서 곧바로 분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직 학계에서는 화산 분화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