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가"(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탐사대장인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와 배윤혁 연구원을 비롯해, 국립생태원 전문가와 지구사랑탐사대 우수대원 130명이 참가했지요. 캠프는 낮 곤충 탐사와 습지탐사, 그리고 밤 탐사와 결과물 발표로 구성됐어요. 먼저 낮 탐사는 영국의 동물학자 ‘제인구달’의 이름을 딴 숲길인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고양이의 천연 소화제, 괭이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혹시 토끼풀과 비슷한 잎에 노란색 꽃을 피우는 식물을 본 적 있나요? 길가에서 5~8월 사이에 발견하기 쉬운 이 식물은 바로 ‘괭이밥’이랍니다. 괭이밥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고양이 밥’이라는 뜻이에요. 1820년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유희가 지은 ‘물명고’란 책에 따르면, 고양이들이 소화 ... ...
- 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해체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호기 부지를 어떻게 재활용할지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며, “지역 주민들과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안전하게 해체한다! 굿바이~, 고리 1호기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Part 2. [고리 1호기] 어떻게 ... ...
- 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경연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등이 있었답니다.대회에 참가하는 학생들은 3일간 진행되는 대회 기간 동안 수중로봇 전문가들의 조언을 구해 자신만의 수중로봇을 완성하게 돼요. 마지막 날, 각 팀은 주최측이 마련한 수중 미션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회를 마친답니다.올해는 30팀 중 홍콩과학기술대학교 ‘에폭시(Epoxsea)’팀이 ... ...
- 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만들어졌어요.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광주과학기술원(GIST)을 비롯해 5개 대학의 전문가들이 빠르고 정확한 폭염 예보를 위해 뭉쳤죠.폭염연구센터에서는 앞으로 여름철 한반도 폭염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집중해서 연구할 거예요. 여름에 나타나는 공기 덩어리들의 움직임과 같이 큰 규모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까치의 날개 문양을 닮은 까치수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봄에서 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면 꽃으로 알록달록 하던 숲이 초록빛으로 변해요. 그러면서 꽃이 귀해지지요. 이런 계절에 더욱 돋보이는 꽃이 있답니다. 바로 ‘까치수염’이에요.까치수염은 이름이 여러 개예요. 하얗고 꼬부랑한 개의 꼬리를 닮았단 뜻에서 ‘개꼬리풀’이라고도 불려요. 또 ‘가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표면에서 15km지점이었던 반면 포항 지진은 지표면에서 9km 아래였다. 지진파를 분석한 전문가들은 진원이 지하 5km 이내일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진원이 얕은 만큼 지진에너지가 더 빨리, 더 강하게 전달돼 피해를 키운 셈이다. 외곽에서 발생한 경주 지진과 달리 주택이 밀집한 흥해읍 인근에서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가 직접 사진을 수정하게 돼 있어 전문가의 경험이나 능력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좌우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 미국인의 데이터베이스롤 토대로 하는 만큼 국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렵다. 연구팀이 개발한 3D 몽타주 시스템에는 현재나 과거의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침 심폐소생술(cough CPR)’이라는 단어가 인터넷에는 널리 퍼져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의학적인 근거가 없는 궤변이라고 일축합니다. 심근경색으로 위급한 상황이 오면 강한 기침을 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의식과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심장이 아직 펌프 역할을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덩어리 몇 개가 주르륵 흘러내렸다. 사진 속 관벌레의 몸통 부분일까? 메뚜기 전문가의 눈으로는 그 이상 알 수 있는것이 없었기에, 나는 다시금 모든 학계 연락망을 가동하기로 했다. 먼저 김 박사를 비롯한 동료들에게 소식을 전했고, 원하는 사람에게는 샘플을 나누어주었다. 그리고서는 다시금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