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완만동결법 또는 이를 약간 변형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채취된 정액을 동결
억제
제로 처리한 뒤 초저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용기에 담아 서서히 냉동시켜 얼린 다음 극저온의 냉동기에 보관하는 것이다. 정자의 냉동은 여성이 불규칙적인 생리 주기를 갖고 있어 수정시기를 맞추기 어려운 경우나,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과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균 등 몸속 유해세균의 생장을
억제
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 이용된 유산균은 지난해 쎌바이오텍 연구팀이 김치에서 분리,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확인한 종이다.한편 김 박사팀이 해독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글리세롤을 사용하면 뇌의 기능을 온전히 유지할 수 있는 상태까지 얼음 형성을
억제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체 냉동보존을 실현함에 있어 저온생물학의 측면에서는 별다른 장애 요인이 없을 것임을 시사해준다.세포수복 로봇 개발에 성패 달려인체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염기성(水溶性鹽基性) 펠티드 항생물질이다 결핵균 등의 항산균(抗酸菌)의 증식을
억제
하지만 그 밖의 세균에 대한 작용은 약하며 2차 항결핵약으로만 근육주사로 사용된다투베락티노마이선B와 같은 물질로서 분자량은 68571인 보라색의 결정이다 생체 일부의 대체용 재료로 사용되는 세라믹스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항여성호르몬작용, 단백질동화촉진작용, 뇌하수체전엽에서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
억제
등 작용을 가진다1956년 G B 스페로들에 의해 11 α-아세트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에서 합성된 합성품이다 6위치의 메틸은 α 배위(配位)이다백색 결정이며 녹는점 232~240℃(분해)이고, 에탄올 · 아세톤에 녹기 ... ...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최적의 실제 상황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심하면 로켓이 똑바로 비행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출렁임을 최대한
억제
하고 힘을 가장 적게 받는 자세로 비행해야 한다. 연구실에서는 연료가 출렁거릴 때마다 로켓의 어느 부분이 얼마만큼 힘을 받는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연구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수행했다.로켓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하나로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 효소계에서 최종 단계의 생산물이 처음 단계의 효소를
억제
하는 것가을밤 남천(南天)의 지평선에 보이는 작은별자리 약자는 Gru 남쪽물고기 자리(Piscis Austrinus)의 1등성 포말하우트보다 밑에 위치한다두 가지 성분으로 된 용액의 증기압을 각 성분의 분압(分壓)과 ... ...
2 말하고 생각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뇌에서는 다른 유전자에 의해 시아릭산의 생성이
억제
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진화학자들은 CMAH가 침팬지와 확연한 차이를 갖고 있는 인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언제부터 인간은 CMAH의 기능을 상실하게 됐을까. 이 시기를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
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조사하는 시험 수혈 전에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각기 혈구와 혈청으로 나누어 상호간의 혈구와 혈청을 ... ...
3 표적 암세포만 정확히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얻었다. 당시에 뇌하수체를 수술로 제거해 호르몬 생산을
억제
했을 때 암의 전이가
억제
되는 것은 알려져 있었고 뇌하수체가 국지화된 샘(gland)이므로 양성자 빔을 실험하기 좋은 대상이었다. 그 뒤에는 버클리 그룹의 영향을 받은 스웨덴의 웁살라대에서 1957년부터 치료가 시작됐다.이후 윌슨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