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흥분신호의 총합에서
억제
신호의 총합을 뺀 값이다. 예를 들어 전체 신호 중 흥분신호가
억제
신호보다 많으면 그 신경세포는 흥분 상태로 변하는 것이다. 즉 시냅스는 수많은 정보를 끊임없이 주고받는 두뇌 속의 초고속 반도체라 할 수 있다.인간 뇌에는 약 1천억개의 신경세포가 있고 한 세포에는 ... ...
부작용 없는 제2의 비아그라 개발된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만성골수백혈병 환자가 갖고 있는‘Bcr-Abl’이라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
하는 약이다. Bcr-Abl은 백혈구를 무한정으로 분열시켜 백혈병을 일으킨다. 스위스의 노바티스사는 이 단백질의 3차원구조를 활용한 디자인을 통해 선택성이 높은 치료약 글리벡을 설계했다. 대부분의 항암제들이 ... ...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쥐를 공격하지 않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어떤 학자들은 전전두 영역이 충동을
억제
하는 브레이크 같은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감정은 뇌와 불가분의 관계현재는 ‘정서적 신경과학’(affective neuroscience)이라는 용어가 생겨날 만큼 정서에 관련된 두뇌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런 ... ...
인간 배제된 채 기계 액션만 난무 터미네이터는 돌아왔는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베일에 가려져 있고 수많은 음모론이 제기되고 있다.상호 확증 파괴 전략은 강력한 전쟁
억제
력을 가지고 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반세기 동안 지구의 평화를 지켜준 힘이었다. 그러나 이 전략은 핵무기의 사용 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휘관의 잘못된 판단이 전 인류의 멸망을 초래할 수 있다는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것을
억제
하는 기능이 뛰어난 종류를 전자파차폐도료라 부른다.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
하는 대전방지도료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화하는 기능에 중점을 둬 전자기파를 흡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도료도 있다.전도성 도료는 이렇게 다양한 기능을 나타내지만 단순히 전도성 물질을 혼합하는 ... ...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해결하기 위해 과일파리는 ‘XIST’라는 RNA를 만들어 암컷의 경우 그 유전자 발현 정도를
억제
하며 수컷의 경우 발현 정도를 촉진시켜 암수의 유전자 용량을 맞추고 있다.아기 업그레이드 위한 임신 식단표메틸기와 아세틸기 등 후성학의 구성 요소들은 DNA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않는 사람들의 해마가 더 작았다. 연구자들은 외부 스트레스가 해마의 신경세포 발달을
억제
해 우울증을 일으킨다고 추측했다.컬럼비아대 신경생물학과 르네 헨 교수팀은 항우울제가 해마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자라게 한다는 사실을발견해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8월 8일자에 발표했다. ... ...
2 정자, 난자, 배아 얼려 임신 조절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완만동결법 또는 이를 약간 변형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채취된 정액을 동결
억제
제로 처리한 뒤 초저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용기에 담아 서서히 냉동시켜 얼린 다음 극저온의 냉동기에 보관하는 것이다. 정자의 냉동은 여성이 불규칙적인 생리 주기를 갖고 있어 수정시기를 맞추기 어려운 경우나,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수 있다. 낮은 온도에서 수컷이 되는 파충류의 경우 아로마타제는 낮은 온도에서 작용이
억제
돼 에스트로겐의 농도가 낮아지므로 수컷이 되고, 온도가 높아지면 효소의 활성이 활발해져 에스트로겐이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암컷이 된다.온도에 의한 성 결정은 진화적인 장단점을 가진다. 암수의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과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균 등 몸속 유해세균의 생장을
억제
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 이용된 유산균은 지난해 쎌바이오텍 연구팀이 김치에서 분리,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확인한 종이다.한편 김 박사팀이 해독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