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동물학대를 가르쳤을지도 모른다. 어디 사는 누군가는 몸짓으로 행동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짰을지도 모른다. 데이터는 그냥 데이터지만, 나와 다른 사람들이 그것에 개입하는 순간 자료가 되니까. 친구 말마따나, 아무것도 가르치지 않으면 딥러닝도 되지 않겠지. 언젠가는 골목길 CCTV의 화질이 ...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기계가 음성을 인식하려면 음성 신호를 주파수별로 처리해야 한다는 걸 잘 알았지? 이때 핵심이 되는 개념이 삼각함수야. 아직 감이 잘 안 와 ... 신호에서 특징을 추출해 학습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물론 수학 지식을 많이 알수록 이런 기술을 더 깊게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답니다 ... ...
- [매스미디어] 하나의 세계, 두개의 미래 시지프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쓱쓱 식을 써 내려가며 형의 추락 지점을 계산한다. 형의 추락지점이 김포라는 것을 알아낸 태술은 그 지점 주변을 깃발로 표시하고 샅샅이 뒤진다. 그리고 마침내 형의 물건으로 채워진 수트케이스를 발견한다. 태술의 계산을 다시 해봤더니…. 드라마 속 태술이 입수한 정보에 따르면 충돌 ... ...
- 수학자에게 물었다! 엉덩이는 한 개인가, 두 개인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렵다는 의견을 주셨습니다. 엉덩이를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없으니 엉덩이의 개수는 ‘알 수 없음’ 또는 ‘한 개이자 두 개’로 볼 수도 있겠네요.여러분은 어떤 답이 마음에 들었나요? 어떤 것을 고르든 그 답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방식과 기준을 따를 거예요. 최일규 교수님이 “엉덩이 개수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그런데 마리모는 구 모양의 덩어리가 하나의 개체는 아닙니다. 마리모의 단면을 보면 알 수 있듯 실 모양의 녹조류가 모여서 공 같은 모양을 만든 것이죠. 마리모가 구 모양으로 생긴 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 거란 합리적 의심이 들지 않나요? 2단계 케플러 추측으로 푼 마리모 모양의 ...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수학자들을 배치해보겠어요! ※ 편집자 주코딩(프로그래밍)의 ‘코’자도 모르는 코.알.못. 홍 기자가 수학 문제를 코딩으로 푸는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 나갑니다. 오일러 프로젝트는 수학과 코딩 실력을 모두 키울 수 있도록 2001년에 만든 수학 문제 웹사이트입니다. 홍 기자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잊었어? 난 로봇이야. 그런 눈빛에 넘어가지 않는다고.”“이 행성에 관해 알고 있었어요?”“당연하지. 여기서는 잘못 걸리면 귀찮은 부탁만 들어주게 된다고. 그래서 다들 여기를 싫어해. 결국, 나 혼자 일해야 하니 나도 귀찮아서 싫고.”“역시 그런 거였어…. 그럼 이제 임무는 어떡해요 ...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무한의 탑 속 AI의 경우 이용자의 실력에 맞춰 학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패턴을 알아차릴 수 있지만, 비무 AI는 딥러닝을 통한 심층 학습으로 움직임이나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떤 규칙성도 없지. 다시 들을 수 있는 그리운 목소리2020년 2월 6일 방영된 MBC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제작팀은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어요! Q 장래 희망은 무엇인가요? 왜 그런 꿈을 꾸게 됐는지 함께 알려주세요~.저는 데니스 홍 박사님처럼 인류를 돕는 로봇을 만드는 로봇공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로봇은 재난 현장처럼 실제 사람이 들어가기에는 위험한 곳에서 사람의 목숨을 구할 수 있잖아요. 그리고 매년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반사하는 빛이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외계행성의 밝기 주기를 보면 대기의 존재를 알 수 있고, 이를 빛의 파장에 따라 관측하면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까지도 좀 더 상세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들이 특정한 파장의 빛만 선택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