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미래에는 150살까지 산다?! 나이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나는야 텔로미어! 사람 몸속에 살고 있지. 내 특기는 어떤 생물이든 보기만 해도 나이를 척척 맞추기야. 이 나무는 50살이고, 저 조개는 80살이군. 저기 보이는 해면동물은 무려 1만 1000살이라고!그걸 어떻게 아냐고? 지금부터 내가 그 비밀을 알려 줄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에는 150 ... ...
Part 1. 생물들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천천히 성장한다는 연구도 있다.[
식물
] 4700살 된 강털소나무DGIST 곽준명 교수는 이
식물
에서 세포 분열을하여 성장하는 부분인 분열조직이 잘 보존됐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또 천재지변과 산불에 강한 외피를 갖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무척추동물] 1만 1000살 해면동물한남대학교 심정자 ... ...
Part 4. 바닷가재의 장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인간은 아주 오래 전부터 늙지 않고 오래 사는 '불로장생'을 꿈꿔왔어. 그래서 오래 전부터 꾸준히 늙지 않는 방법을 찾고 있지. 그렇다면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게 하면 더 오래 살 수 있지 않을까? 바닷가재를 통해 그 비밀을 확인해 보자. 텔로미어가 닳지 않는 바닷가재!바닷가재는 텔로미어 ... ...
Part 5. 오래 사는 동물에게 배우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극한 환경에서 사는 동물의 DNA를 배워라!극한의 환경에 사는 동물들에게서 장수 비법을 찾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어요. 대표적인 동물은 ‘우주에서 가장 질긴 생명력을 지닌 생물’로 알려진 물곰이에요.물곰은 몸 크기가 0.1mm~1.5mm인 작은 무척추 동물이에요. 영하 273℃의 차가운 환경이나 151℃의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
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많이 만드는 새로운 바닐라 난초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미생물이 신진대사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향을 모아 향료를 만드는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흙은 애리조나의 사막에서 구했습니다. 그 결과 화성(과 흡사한) 흙에서 유채와 겨자과의
식물
이 씨앗을 맺기도 했답니다(doi:10.1371/journal.pone). 후속 연구에서는 토양에 미생물과 영양분을 공급해 토마토와 완두를 수확하기도 했어요.어떠세요? 물론 지구에서만큼 편하지는 않겠지만…, 생각보다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파란색 수탉이 나타났다?! 수탉의 볏과 부리 밑에 늘어져 있는 육수까지 꼭 닮은 이
식물
은 ‘닭의장풀’이에요. 여름철 풀밭이나 개울가 등 습한 곳을 지나다 보 ...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
이름 속 동물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재미있는
식물
이야기를 기대해 주세요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세포의 수명을 알려 주는 텔로미어우리 몸 세포는 끊임없이 태어나고 죽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어요. 시간이 지나면 길게 자란 손톱과 머리카락을 잘라야 하는 것처럼 말이에요. 그런데 세포가 언제 태어나고 죽는지를 결정하는 건 무엇일까요? 그 답은 ‘텔로미어’랍니다.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2호
만드는 살아 있는 공장이에요. 이 과정을 ‘광합성’이라고 하지요. 광합성은 보통
식물
의 잎에서 일어나요. 이전부터 과학자들은 광합성처럼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화학물질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어요. 하지만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는 충분한 에너지를 모으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