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방법을 계산할 수 있게 된 거죠! 또한 이 모형으로 13년 전 오돌리와 노이커치가 발표했던 논문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판매되는 24cm 길이의 스파게티 면은 250° 꼬인 상태에서 구부리면 된다고 하니, 여러분도 집에 스파게티 면이 있다면 실험해 보세요! 알고 보니 냄비에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는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에서 운영하는 영재원에 참여해 수업을 듣고, 실험을 진행해 논문도 썼다. 박 씨는 “일반고 학생들이 누릴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이라고 추천했다. 특별한 공부 비법이 있었냐는 질문에 박 씨는 “공부하기 싫을 때, 열심히 놀 생각을 하면서 공부를 했다”고 ... ...
-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 내용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변화-수상경력 한 학기에 1개, 총 6개로 제한-자율동아리 학년당 1개에 한하여 기재, 소논문은 기재하지 않기로-자기소개서 4개 문항 5,000자에서 3개 문항 3,100자로 축소-교사추천서 폐지 학생부 기재 및 관리에 있어서는 학교 선생님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는 논란이 있어왔다. 이에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강점은 무엇인가요? 임성빈 연구원 수학 전공자는 수식에 강하니까 인공지능 관련 논문에 나오는 수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종종 다른 연구원이 수식에 관해 설명을 부탁하면 저희가 수식을 코딩해 보여주고는 해요. 단점도 있어요. 인공지능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험이 부족해요.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1859년 ‘특정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리만 제타 함수(ζ(s))’라는 도구를 써서 말이지요. 리만의 이 도구는 가우스가 거의 발굴해 놓은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진화’도 가속화 시키고 있어요. 2017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마크 존슨 교수는 192개 논문을 분석해 도시 개발로 생물 서식지가 분리돼 새로운 종이 생기는 등 인간이 다양한 진화 과정에 영향을 끼쳤다고 발표했지요. 예를 들어, 우연히 런던 지하철에 들어간 모기는 기존 집모기와 분리돼 살면서 ... ...
- [JOB터뷰] 한국 대표 공룡 점박이를 만들다! 한상호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될까?’라는 질문에 묶여 있었지요.” 그는 상상과 사실을 균형 있게 반영하려고 최신 논문 등을 챙겨보며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지요. “공룡의 모습은 변화하고 있어요. 에서 벨로키랍토르는 뱀 같은 비늘 피부로 표현됐어요. 그런데 2007년 중국에서 깃털 달린 화석이 발견됐지요.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좋았던 게 있어요. 학술지의 표지 논문을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땐 우스갯소리지만, 그림과 공부가 서로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해요. 만화가로서는 곤충이 독특한 소재고, 곤충학자로서는 그림 그리는 능력이 쓸모 있거든요. Q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관심을 샀어요. 행성 연구로 유명한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1611년에 쓴 논문에서 ‘눈송이가 육각형인 것은 눈송이를 이루는 원자의 배열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라는 추측을 남겼답니다. 300년 뒤, 과학자들은 엑스선 분석을 통해 실제로 물 분자가 육각형을 이루며 결합해서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밀 등 주요 식량을 생 산하는 건 점점 어려워지고 있어요. 2017년 미국과학원 회보는 논문 70여 편을 분석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지 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1세기 말 전세계 주요 곡물 생산 량이 18.2%나 줄어든다고 추정했지요. 더욱 큰 문제는 농부도 부족하다는 거예요. 농부의 평균 연령이 한국은 6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