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멍냥과학] 반려견의 풍부한 표정, 비결은 사람 닮은 얼굴 근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표정을 지을 때 주로 사용하는 것들이죠. 근육을 잘 구별하기 위해 이 근육들의 조직을 모두 염색한 뒤, 사진을 촬영하여 전체 근육 중에 속근의 비율을 알아냈어요. 분석 결과, 개의 속근은 전체 얼굴 근육 중에 적게는 66%에서 많게는 95%를 차지했어요. 반면에 늑대의 속근은 전체 얼굴 근육 중 약 25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6화. 우주순찰대는 혼자가 아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귀를 막고 어디론가 가버렸습니다. 딱지는 그런 모습을 보며 슬며시 웃었습니다. 모두 무사해서 다행이야! 힘을 합쳐 멋지게 임무를 완수한 우주순찰대 최고~! 계속 고호관 작가우주를 동경하던 소년은 어느덧 나이를 먹어 여전히 우주를 동경하는 아저씨가 됐어요. 지금은 우주를 배경으로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맞고 틀리고가 확실한 학문이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평가가 가능해요. 그런 면에서 모두에게 공평하지요. 또한 다른 이공계 학문은 실험실을 떠나 연구하기 쉽지 않지만, 수학 연구는 시공간의 제약을 적게 받기 때문에 아이가 있는 여성도 시간과 에너지를 잘 분배하면, 연구를 그만두지 않고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2화. 수학과와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해결하기, 최초로 에베레스트에 오르기 등 6가지 소원을 빌기도 했습니다. 안타깝게도 모두 이루지 못했습니다. 재임 기간 1963~1969년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인 마이클 아티야 경 역시 1963년부터 1969년까지 세빌리안 기하학 교수 자리를 맡았습니다. 재임 기간 중이었던 1966년 만 40세 이하 젊은 ... ...
- [특집] 어디로 이사가야 안전할까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소개한 침수지도 제작, 방수빌딩 등 사례는 모두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에요. 고무줄은 탄력이 높죠. 아무리 늘려도 다시 원래 길이로 돌아옵니다. 비슷합니다. 회복탄력성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얼마나 빨리 평소 상태로 회복하는지 ...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과학동아 l2022년 10호
- 3대 편의점 기준 한국 편의점 개수는 무려 4만 5081개에 이른다.이런 편의점에 얽힌 사연은 모두 이 책 속에서 펼쳐진 이야기의 일부다. 삼각김밥, 얼음, 커피, 계산대 등 편의점의 모든 것에는 재밌는 사연이 있고, 지금 소개한 내용보다 훨씬 더 놀라운 과학적 사실이 담겨있다.특히 저자는 과학동아의 ... ...
- [기획] 일회용컵 줄이기, 대안은 다회용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환경 오염 문제를 보증금제로 모두 해결할 수는 없을 거예요. 다른 나라에서는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2020년 영국에서는 상단에 나비 날개 모양의 접이식 마개가 있는 ‘버터플라이컵’이 출시됐어요.마개 덕에 플라스틱 뚜껑이 없어도 음료를 마실 때 쏟아지는 걸 예방할 수 있지요. 또한 ... ...
- [어수티콘] 지름, 반지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그렇다고 이상한 눈으로 보지는 마세요! 원이라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는 모두 가지고 있으니까요. 어수동 :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요소가 뭐죠? 원은 이렇게 수많은 점으로 이뤄져 있는데, 모든 점으로부터 항상 같은 거리에 있는 점을 ‘원의 중심’이라고 해요. 왼쪽 그림처럼 원의 중심을 ... ...
- [기획] 다섯 글자로 말하는 수학 내 일의 원천!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기존 통계 방법뿐 아니라 기계학습 같은 최신 방법을 모두 적절하게 활용해 모형을 만들었어요. 또 사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해를 구하는 일이지요. 다양한 상황 속에서 어떤 해를 구하기 위해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 것을 무한히 반복해야 하니까요. 수학적 사고를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근삿값을 구하기 위해 펠의 방정식을 풀었어요. 지금이야 가 1.414인 무리수라는 것을 모두 알고 있지만, 당시에는 무리수의 존재를 몰랐어요. 특히 그리스 수학과 철학을 발전시키는 데 공헌한 피타고라스 학파는 무리수를 인정하지 않았거든요. 그래서 를 최대한 유리수로 표현하기 위해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