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 없군. 벌에는 여러종류가 있지만 여기서는 뛰어난 건축가인 꿀벌을 소
개
할게. 꿀벌도
개
미처럼 조직사회를 이루고 살기 때문에 거대한 규모의 집을 짓고 살아.벌집이 육각형 모양의 공간으로 이루어졌다는 건 알지? 그런데 왜 육각형일까? 육각형이 원에 가까우면서도 공간의 낭비가 가장 적기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빨리 익고 육질이 좋은 일본 품종 2가지를 교배한 다음, 우리 풍토에 잘 적응한
개
체를 선발한 결과다. 이 같은 육종 덕분에 추석에도 크고 단 배를 맛볼 수 있게 됐다.국내에서 재배하는 배는 대부분 동양배. 서양배나 중국배에 비해 육종이 쉽지 않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정희 박사는 “동양배는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감소시켰다. 태양열로 조리하면 연기가 나지 않기 때문에
개
발도상국에서 매연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발병되는 비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요소만을 걸러내 수소기체를 생산하기 위한 공정을 연구하고 있다”며 “약 6
개
월 뒤면 이렇게 얻은 수소기체를 직접 연소시키거나 연료전지에 활용해 실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자동차 진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에코 드라이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뀌는 시스템, ‘어라이브(Arrive)’를
개
발했다. 신호체계가
개
선된 결과, 평균 5
개
의 신호를 기다리던 도로에서 평균 2
개
정도의 신호만 기다려도 돼 신호대기시간이 줄었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0%나 감소했다.국내에서도 지능형 교통체계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은 있지만 아직 유럽과 같은 수준을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엄 대장은 히말라야에서 해발 8000m 이상인 봉우리 16좌(주요 봉우리 14좌 + 위성봉 2
개
)를 20여 년 동안 모두 올랐다. 히말라야를 제집 드나들듯 하면서 그는 무엇보다 자연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었다.“히말라야 산자락을 따라 빙하가 무서운 속도로 녹고 있어요. 엄청난 양의 얼음이 한꺼번에 녹아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파악하고 레이저 빔을 쏴 하룻밤 동안 모기를 10억 마리까지 죽일 수 있는 레이저 총을
개
발 중이다. 사람이 모기를 멸종시킬 수 있을까. 모기는 약 1억 7000만 년 전 쥐라기 때 처음 나타나 지금까지 지구에 살고 있다. 2억 년 가까이 살아남았을 만큼 환경적응력이 좋고 생명력도 질긴 모기. 차라리 ... ...
생명의 책, DNA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생명의 목적과 본질은 DNA 분자의 복제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너와 나’라는
개
인들의 존재는 무의미하고 인간을 포함한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들은 단지 DNA 분자가 생존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그래서 도킨스는 동식물들을 가리켜 DNA의 ‘생존기계’라고 불렀다.생명의 비밀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걷고 있는 셈이다.“분자생물학이든 육종학이든 이제는 두 분야를 다 잘 이해해야 해요.
개
체 수준에서 일어나는 눈에 보이는 현상도 확인해야 하고, 분자 수준에서 일어나는 미세한 현상도 들여다봐야죠. 육종도 이제 분자까지 다루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으니까요.”유전육종체험학교에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향으로 발전할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작물 자체가 가진 유전자만으로는 품질을
개
량하는 데 한계가 있을 테니 말이다. 분자육종의 발달에 따라 GM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적 합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더욱 힘이 실릴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이전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8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