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농도가 30%나 되는 실크수용액은 ‘실젖’이라는 기관을 통해 기다란 실로 뽑아져 나온다.
필자
가 최근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은 거미와 누에의 실크 합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새롭게 해석한 연구다. 실크는 마치 젖은 빨래의 물을 짜듯 실크수용액을 쫙 짜내서 만들어진다는 결과다. 좀더 구체적으로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하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공지능 시스템으로는 무리가 있다.
필자
는 인간의 감성까지 표현하는 패션디자인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 대화형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했다. 우선 패션 디자이너의 지식에 기반한 세부 모델을 유전자형으로 인코딩했다. 일반적인 여성복의 세부 요소를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SIRTF의 과학적인 면의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SIRTF 과학센터에는
필자
외에도 노정희 박사, 최필립 박사 등이 있으며, SIRTF 관측기기 중 하나인 MIPS를 개발한 팀에는 김진영 박사(미국 애리조나대)가 있다. 그 외 SIRTF 관련 주요 과학 프로젝트들에도 한국 과학자들이 공동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원천기술개발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필자
의 연구팀은 두부와 막걸리 등 식품공장에서 나오는 폐수와 농산물시장의 과일 폐기물, 하수찌꺼기 등을 원료로 혐기성 수소생산 세균과 광합성 세균을 2단계로 적용한 수소생산 시설을 개발했다. 국내에서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비슬산 참꽃축제 때는 전국에서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는다.지난 2001년 3월
필자
는 문화재청에 비슬산 돌강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관할 지방자치단체인 대구광역시의 행정 협조를 받아 현재 지정을 눈앞에 둔 상황이다. 또한 올해 봄 문화재청에서는 비슬산을 방문한 후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7쌍의 결합쌍생아가 보고됐다.
필자
가 봤던 3쌍 중 2쌍은 분리 수술에 성공해 현재 4명 모두 생존해 있다. 한쌍은 심장을 공유하고 있었는데, 수술 전 검사 과정에서 사망했다.두명의 사망 vs 한명의 희생영국에서는 지난 2000년 8월 태어난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핵심적 메커니즘’이라는 것이다. 유전알고리즘의 메커니즘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라면
필자
는 ‘거대한 패턴 짜맞추기 게임’이라고 할 것이다.예술 창조 과정과 일맥 상통유전알고리즘 스키마 사이의 경쟁은 인지심리학의 스키마들이 벌이는 경쟁과 유사한 점이 있다. 리처드 도킨스는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바로 양서류는 특유의 냄새를 통해 자신의 부모나 형제를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의 연구실에서는 또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는 괭이갈매기의 알을 부화시켜 2-3마리의 형제끼리 함께 살게 했다. 10일 정도 지나면 괭이갈매기는 자신의 형제와 다른 배의 형제를 식별할 수 있고 다른 ... ...
${10}^{-15}$m 펨토세계에서 새로운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고려한 연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피직스레터스’에 발표된 바 있다. 이 연구에
필자
를 비롯한 충남대 박병윤 교수와 서울대 민동필 교수가 참여했다.Q=c, b인 펜타쿼크의 존재는 1999년 미국 페르미 연구소의 E791 그룹이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확인해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발표했다. 최초의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입자의 수에 지수함수적으로 비례하는 개수의 끌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
의 연구실에서 TSP의 끌개 수를 세어본 결과, 물리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문제의 크기에 지수함수적으로 비례하는 수의 끌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0개 도시 TSP의 경우, 끌개는 평균 4개, 20개 도시는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