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같은 한국 문화권 내에서도 동양적인 사고의 습관을 따르는 정도에도 차이가 있다.
필자
의 연구팀은 우리나라 성인들을 연령별로 조사한 결과 나이가 많은 사람이 더 동양적인 사고를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즉 나이가 들수록 극단적인 주장들 사이에서 타협을 선택하고, 부분보다는 전체를 중요하게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색채의 사용은 마티스의 그림에서도 가끔 등장하는데 매우 따라하기 어려운 기법이다.
필자
도 그 원리를 이해하기 전에는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했었다. 왜 그런지 다시 한번 모양정보처리통로와 색채정보처리통로의 특징을 살펴보자.사실 모양정보처리통로가 직접 모양에 관한 정보를 추출해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지난해 12월 3일부터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열대의학 및 위생학회 회의에서
필자
와 공동 연구자인 국립보건원 이원자 연구관의 발표가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미꾸라지를 이용한 말라리아 퇴치법 소개가 발표의 요지다. 이 내용은 영국 BBC 뉴스에서도 소개됐다. 이 회의에서 발표된 1천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계획이다. 또한 우주용 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가 장착돼 이 위성을 추적하게 된다.
필자
의 연구실은 위성의 자체 제작을 위해 전기전자장비 제작·조립시설, 위성 진단용 컴퓨터 시스템, 다양한 기능시험·측정 장비를 확보했다. 소형위성은 미세한 먼지, 습도,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깨끗한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같기도 하고 동물이 우는 소리 같기도 하다며 소리전문가조차 해답을 찾아내지 못했다.
필자
는 이 소식을 듣자마자 경주로 내려가봤다. 그 이상한 소리의 주인공은 다름아닌 호랑지빠귀라는 이름의 새였다. 번식기 때 주로 한밤중에 암수가 함께 다니며 높고 가느다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일명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발암성 물질들이 중간체로 바뀌는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발암과정을 억제한다.
필자
를 포함한 몇몇 연구자들은 최근 캅사이신이 위에서 생성되는 대표적 발암물질인 나이트로소아민의 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암세포에 캅사이신을 처리할 경우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해 항암작용을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필자
는 팬트 후트의 실례를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었다. 옥내 실험실에 있던 침팬지 한마리가 팬트 후트를 시작하니 1백m 떨어져 있는 옥외 시설에 있던 침팬지들이 이내 팬트 후트로 화답을 하는 것이 아닌가!침팬지들이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및 안과수술을 위한 모의 수술용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국내에서는
필자
들이 속한 KAIST의 텔레로보틱스 및 제어 연구실에서 햅틱 장치와 햅틱 렌더링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연구실에서 개발한 햅틱 장치 중 하나는 조이스틱 같은 장치에 의사들이 사용하기 편한 ... ...
뭉클뭉클, 이 느낌이야!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실제 노를 저을 때 일어나는 물의 저항 변화를 재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끝으로
필자
인 김상연씨가 개발한 촉진용 햅틱 장치 앞에 앉았다. 화면에는 짙은 적갈색의 간이 놓여있다. 커서를 간 표면에 두고 장치의 손잡이를 내리자 ‘뭉클’한 느낌이 전해진다. 화면속의 간은 마치 손가락에 눌린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농도가 30%나 되는 실크수용액은 ‘실젖’이라는 기관을 통해 기다란 실로 뽑아져 나온다.
필자
가 최근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은 거미와 누에의 실크 합성에 대한 메커니즘을 새롭게 해석한 연구다. 실크는 마치 젖은 빨래의 물을 짜듯 실크수용액을 쫙 짜내서 만들어진다는 결과다. 좀더 구체적으로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