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d라이브러리
"
불구
"(으)로 총 1,97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어발음 미국인처럼 할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단어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 사람은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혀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제대로 영어발음을 하기 힘든 것일까. 그 이유는 생각 외로 간단하다. 인간이 발음할 수 있는 소리는 들을 수 있는 소리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듣는다는 것은 정확하게 소리를 판별할 수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됐다. 일본 중의원은 올 5월 의정서 비준안을 승인했다. 그러나 미국은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
하고 여전히 비준을 거부하고 있다.식물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엔 한계 있어그러나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식물이 흡수하는 능력도 커진다는 결과들은 단기적인 실험에 근거한 것으로 자세히 들여다보면 ... ...
익혀 먹는 토마토가 몸에 좋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경우 비타민C 등 영양 성분의 일부가 파괴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익힌 토마토가 건강에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정답은 토마토나 수박 등을 붉게 만드는데 관여하는 색소인 ‘리코펜’(lycopene)에서 찾을 수 있다. 신선한 토마토엔 리코펜이 많이 들어있다. 리코펜은 ... ...
1. 외계탐사 전초기지 우주정거장 24시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환경을 제어하고 우주비행사의 생명을 유지하는 시스템(ECLSS) 덕분이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산소와 물의 절대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아껴 쓰고 재활용한다. 이같은 원칙은 화성으로 가는 탐사선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화물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그만큼 연료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 ...
공학적 직관과 응용의 조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기초과목이지만 많은 학문적 배경을 요구하는 새로운 분야다. 하지만 이런 차이점에도
불구
하고, 이 두 과목은 MIT에서 대표적 명강의로 손꼽힌다.매년 업데이트되는 그들만의 교과서이 두 강의는 명강의라는 공통점 이외에도 몇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두 과목 모두 교과서, 즉 ... ...
배우자로는 날 닮은 사람이 최고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갖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다.그런데 왜 이러한 위험에도
불구
하고 자신, 또는 자신의 부모와 닮은 사람에게 끌리는 것일까.일부 과학자들은 부모를 닮은, 즉 자신과 유전자가 비슷한 배우자를 선택하는 근연교배(inbreeding)가 특정 환경에 잘 적응한 유전자들을 더욱 잘 ... ...
개미의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 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다소 염려가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기우에 불과했다. 그는 40대라는 적지않은 나이에도
불구
하고 호기심이 가득하고 장난기로 똘똘 뭉친 소년 같은 어른이었다. 그와의 대화는 과학이 어떻게 대중에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지, 과학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당신의 작품은 과학적 ... ...
2. 밝혀지는 암 유전자, 그리고 DNA 칩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만든다. 성장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 세포증식이 필요 없음에도
불구
하고 계속적인 세포증식이 일어난다. 게놈 항상성을 유지하는 유전자에도 이상이 생겨 유전자 변이가 회복되지 않고 계속 축적된다. 이런 세포를 제거하는 세포자살 유전자에도 이상이 일어나 변이세포를 ... ...
복어 게놈지도 공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갈라진 4억5천만년 전 이후 단백질의 진화가 상당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순서는 뒤엉켜 있지만 인간과 함께 공통 척추동물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도 상당수 보존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고장, 매우 희미한 태양빛, 서서히 줄어드는 전력 등 탐사선을 가로막는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
하고 보이저 2호는 1986년 1월 24일 천왕성에 약 8만km까지 접근해 4천3백여장의 사진을 보내왔다. 보이저의 사진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 천왕성은 줄무늬투성이 목성이나 토성과는 전혀 달랐다. 대기의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