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예측한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는 1분당 197회, 실제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는 대략 1분당 197.1회로 거의 일치했답니다! 데이터를 통해 규칙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거죠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근본적으로는 단순한 문제입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수학 문제에는 생각할 부분이 있어서 의미 없는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질문하고 답변할 수 있어야 합니다”미국의 ‘많은 수학 교환(Math Stack Exchange)’ 사이트는 수학 질문을 올리고 댓글로 의견을 교환하는 곳입니다. 이곳에도 ... ...
- [수학자의 연구노트] 예상치 못했던 수학자와의 만남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여러 수학자와 공동 연구를 해봤지만, 웨이스 교수처럼 거리가 먼 분야의 전문가와 공동 연구를 한 것은 아주 특이한 경험이었다 ... ...
- [특집]딸기 독립 만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부러워할 수 있지만, 하루에 100개 이상의 딸기를 맛보면 소화도 힘들어요. 게다가 수분이 많은 딸기를 많이 먹으면 화장실도 자주 가야 하죠. Q그럼에도 계속 새로운 딸기를 개발하는 이유가 있나요?현재 식량자원이 증가하는 추세를 봐선 미래 인류를 모두 먹여 살릴 수 없어요. 특히 지구온난화에 ...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사투리를 배운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쓰는 노인분들과 대화하고 사투리를 모르는 어린이들과 소통하게 하는 다리가 되길 바라요. 그리고 사투리로 지역성을 듬뿍 담은 작품까지 창작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 ...
- [헷갈린 과학] 부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금관악기VS목관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목관악기로 구분되었지요.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관악기는 음을 만드는 방식으로 구분되기 시작했습니다. 금관악기는 입술의 떨림으로, 목관악기는 악기에 뚫린 구멍을 여닫는 방식으로 음을 냅니다. 지금은 플루트를 비롯한 목관악기 일부가 금속으로 만들어지지만, 음을 내는 방식은 그대로라 ...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소재에 비해 히그 지수(의류 소재 1kg을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환경부담 요인)가 최대 4분의 1 수준으로 낮고, 식물성 소재를 이용하면 훨씬 더 낮아진다. 동물성 소재는 가공 과정에서 크롬, 비소 등 독성물질이 사용되는데, 식물성 소재는 이런 과정이 생략된다.김 고문은 “현재 패션계는 친환경으로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거의 보이지 않는다. 기구에 달린 고도계가 보낸 신호가 맞다면 50km까지 올라갔다.“충분해.” 소요가 말하자 옆에서 맨눈으로 하늘을 바라보고 있던 요냐가 주머니에서 손바닥만한 리모컨을 꺼냈다. 리모컨 아래에는 케이블 두 개가 덜렁거리며 매달려 있었다. 요냐는 무릎을 꿇고 앉아 바닥에 있던 ... ...
- 단순해 보여도 단순하지 않다? 수학 문제의 반전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출발해 좋은 수학 문제에 대한 기준을 놓고 격렬한 의견이 오가더군. 이대로 폴리매스의 분열을 지켜볼 수만은 없지! 폴리매스의 궁극적 목적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어. 지금부터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를 위해 긴급회의를 시작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폴리매스를 구하라!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정밀한 추적-신속한 대응전략 수립’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수 중 방사성 물질을 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하면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죠. 이는 오염수 추적의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Q.수학동아 독자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원자력환경을 감시하면 신속하게 사고를 탐지해서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