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UV 레진으로 햇빛을 잡아보자 선캐처 만들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에너지를 받으면 광개시제가 자유 라디칼을 만들어 단위체를 길게 연결하면서 단단한 고
분
자 화합물을 형성합니다.예쁘게 완성된 선캐처를 과학동아 편집실 창가에 걸어봤습니다. 이제 선캐처에 햇빛과 함께 행운도 잡히길 기다리기만 하면 되겠네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건물에 필요한 엘리베이터 개수 찾기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시간은 1초, 사람이 타고 내리는 시간은 2.5초이며, 한 사람당 평균 대기 시간은 5~7
분
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정원이 20명인 엘리베이터 한 대로 모든 직원을 사무실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는 약 500번 왕복해야 하며, 이때 걸리는 시간은 총 2500
분
(약 42시간)~3500
분
(약 5 . ...
단순해 보여도 단순하지 않다? 수학 문제의 반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출발해 좋은 수학 문제에 대한 기준을 놓고 격렬한 의견이 오가더군. 이대로 폴리매스의
분
열을 지켜볼 수만은 없지! 폴리매스의 궁극적 목적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겠어. 지금부터 폴리매스 갈등 회복 프로젝트를 위해 긴급회의를 시작한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폴리매스를 구하라! ... ...
폴리매스 히어로 회의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파악했고 가치 있는 문제를 만들려고 노력 중입니다. 폴리매스의 새로운 회원들이 충
분
한 설명과 정확한 예시 없이 지적을 받는다면 상처받을 가능성이 클 거예요. ‘이런 문제는 내면 안 된다’라는 정확한 예시를 보여 모두가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폴리매스가 되면 좋겠습니다. 전주 온빛초5 ... ...
놀이기구 대기시간은 22
분
이 한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공원! 그런데 사람이 왜 이렇게 많아? 끝이 보이지 않는 이 줄 좀 봐.저기 사람들은 오래 기다려서 그런지 즐겁지 않은 것 같아. 하긴, 놀 ... 그 결과 일반 계산대를 이용한 고객의 경우 실제 기다린 시간은 평균 7.7
분
이었으나 평균 8.9
분
을 기다렸다고 느꼈어요 ... ...
골든타임 만드는 빅데이터와 숫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입력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사용하는 언어인 숫자로 저장돼요. 또 컴퓨터로 데이터를
분
석하고 그 내용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숫자를 다루는 ‘수학’을 알아야 한답니다. 박제남 인하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는 “표와 그래프 등을 읽는 수학적인 능력은 빅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매우 ... ...
[특집]새로운 과일, 어떻게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만들어요. 물론 수천 개의 씨앗을 키워도 새로운 과일을 만드는 데 성공할 확률은 수천
분
의 일에 불과해요.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사과는 일본 ‘후지’ 계열 등 외국 품종이었어요. 이를 대체하고자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사과를 교배육종으로 개발해 왔어요. 원래 ... ...
[기획]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배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예요. 사투리를 배운 인공지능이 사투리를 쓰는 노인
분
들과 대화하고 사투리를 모르는 어린이들과 소통하게 하는 다리가 되길 바라요. 그리고 사투리로 지역성을 듬뿍 담은 작품까지 창작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 ...
[SF소설] 랄로랑이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거의 보이지 않는다. 기구에 달린 고도계가 보낸 신호가 맞다면 50km까지 올라갔다.“충
분
해.” 소요가 말하자 옆에서 맨눈으로 하늘을 바라보고 있던 요냐가 주머니에서 손바닥만한 리모컨을 꺼냈다. 리모컨 아래에는 케이블 두 개가 덜렁거리며 매달려 있었다. 요냐는 무릎을 꿇고 앉아 바닥에 있던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예측한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는 1
분
당 197회, 실제 귀뚜라미 울음소리 빈도수는 대략 1
분
당 197.1회로 거의 일치했답니다! 데이터를 통해 규칙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거죠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