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그 많던 소똥구리는 다 어디로 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뿌린 농약, 똥을 묻기 어려운 시멘트 바닥 등도 소똥구리에게 치명적이었지요. 김태우
국립
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는 “전세계적으로 소똥구리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라며, “몽골은 넓은 풀밭에서 소를 기르고 있어서 아직 소똥구리가 많이 살고 있다”고 말했어요. 소똥구리는 생태계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지점을 알아내 차단하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롤린 허터
국립
인간유전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유전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 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ell.2018.03.03 ... ...
[과학뉴스] 홉 없어도 맥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만든다. 이 중 풍미를 결정하는 재료는 홉이다. 그런데 제이 키슬링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연구원팀이 홉 없이 효모만으로 홉의 풍미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0일자에 발표했다. 홉 특유의 쌉싸름한 향은 암꽃이 가진 화학물질에서 나온다. 특히 ... ...
수면 시간 늘리니 학업 효율 올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치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미국 듀크대-싱가포르
국립
의대 인지신경과학센터 연구팀은 2016년 7월부터 싱가포르여중 재학생 375명의 등교 시간을 늦추고 수면 시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슬립(SLEEP)’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등교 시간을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3위 산림황폐화 국가로 꼽히는 북한의 산림 복구도 남북 협력이 가능한 분야다.
국립
산림과학원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평양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1만2000km²의 산림 지역이 황폐화됐다. 매년 평양과 맞먹는 면적 이상의 산림이 황폐화된 것이다. 2015년 김정은 위원장이 ‘산림 복구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노출되는 ‘다수의 문화’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실험 참가자인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여러 종류의 음악과 이성의 얼굴 사진 여러 장을 제시하면서 매력적으로 느끼는 것을 선택하게 했다. 이후 실험 참가자들이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수 있는 사이클로이드곡선 모양의 아크릴 판을 만들어 제공하기로 했다. 한 번은 대전
국립
중앙과학관에서 열리는 체험전에 가기 위해 일정을 짜는데, 차량을 빌리는 비용이 많이 들어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참가 학생은 15명으로, 버스 좌석보다 적었던 것이다. 결국 동아리원이 아닌 ... ...
[식물 속 동물 찾기] 호랑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식물은 따뜻한 봄이 되면 아름다운 꽃을 피워요. 이를 위해 혹독한 겨울 동안 털이나 기름층으로 둘러싸인 꽃눈을 키우죠. 꽃눈은 성장을 멈춘 채 겨울을 나고, 날씨가 따뜻해지면 꽃을 피운답니다. 호랑버들의 이름은 바로 이 꽃눈에서 유래했어요. 양끝이 뾰족한 꽃눈은 약간 붉으면서도 반짝반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자동으로 분리해내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제공하는 지문 정보를 이용해 무작위로 지문을 겹친 뒤 분리해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지문 두 개의 정보를 온전히 알고 있는 상태에서 이 둘을 겹친 뒤 다시 분리해 원래의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되는 연구 결과들이 하나둘 나오고 있다. 2015년 미국 시카고대와 퍼시픽노스웨스트
국립
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중금속의 일종인 바나듐이 전두엽에 쌓여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doi:10.2310/7290.2015.00001 중금속이 뇌에 축적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으로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