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급구, 소똥구리를 찾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럼 이렇게 들여온 소똥구리는 어디에 쓰일까요? 올해 하반기에 경상북도 영양군에 ‘
국립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문을 열어요. 이곳에서는 이름 그대로 우리나라의 멸종위기 종을 복원할 예정이지요. 여러 종류의 동·식물이 복원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소똥구리도 그중 하나랍니다 ... ...
2018 수학문화축전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시간을 선물할 예정이니까요. 수학으로 행복한게 어떤 기분인지 알고 싶다면 4~5월은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한껏 놀아 봅시다. 여기 2018 수학문화축전을 200% 즐기기 위한 가이드맵을 준비했으니 준비 단단히 하고 알차게 즐겨봐요. [TIP] 시간과 장소를 잘 확인하라 수학문화축전은 4월 21일부터 5월 2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의료계도 동형암호 적용에 시동을 걸고 있다. 전 세계 기초의학 연구를 주도하는 미국
국립
보건원(NIH)은 3월 15일(현지 시간)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열린 ‘동형암호 표준화 국제회의’에 참석해 이를 공식화했다. 이 자리에서 하이디 소피아 NIH 연구프로그램 책임자는 “NIH는 의료정보를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어둠 속의 사냥꾼 수리부엉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가장 좋아하는 우리나라의 생물은 누구인가요? 작년 10월
국립
생물자원관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우리 생물 101’ 대국민 투표를 실시했어요. 1만 3500명이 투표한 결과, 조류 부문에서는 수리부엉이가 1등을 차지했지요. 수리부엉이는 부엉이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종이에요. 야행성이라 해가 지고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한 가족!몽골에서 살고 있는 소똥구리를 우리나라에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
생물자원관과 배연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교수팀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몽골에서 소똥구리를 들여와 복원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어요.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의 DNA를 분석한 결과, 유전적인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지점을 알아내 차단하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롤린 허터
국립
인간유전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유전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 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ell.2018.03.03 ... ...
[과학뉴스] 홉 없어도 맥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만든다. 이 중 풍미를 결정하는 재료는 홉이다. 그런데 제이 키슬링 미국 로렌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연구원팀이 홉 없이 효모만으로 홉의 풍미를 만드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20일자에 발표했다. 홉 특유의 쌉싸름한 향은 암꽃이 가진 화학물질에서 나온다. 특히 ... ...
수면 시간 늘리니 학업 효율 올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치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미국 듀크대-싱가포르
국립
의대 인지신경과학센터 연구팀은 2016년 7월부터 싱가포르여중 재학생 375명의 등교 시간을 늦추고 수면 시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슬립(SLEEP)’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등교 시간을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3위 산림황폐화 국가로 꼽히는 북한의 산림 복구도 남북 협력이 가능한 분야다.
국립
산림과학원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평양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1만2000km²의 산림 지역이 황폐화됐다. 매년 평양과 맞먹는 면적 이상의 산림이 황폐화된 것이다. 2015년 김정은 위원장이 ‘산림 복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튼튼하게 연결하면서도 가볍기 때문에 다시 돌을 쌓을 때 무게가 크게 늘지 않거든요.
국립
문화재연구소에서는 타이타늄 봉을 이용해 화강암을 튼튼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답니다. 동탑은 9층, 서탑은 6층인 이유는?다음으로 미륵사지 동탑을 찾았어요. 새하얀 돌들이 9층까지 쌓여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