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변화를 직접 측정할 수가 없다.하지만 뜻이 있는 자에게 불가능은 없는 법. 미국 워싱턴
대학
의 케이(Qusy) 박사팀은 1992년 탄소의 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동위원소비(${ }^{13}$C/${ }^{12}$C의 비율)를 이용해 전체 대양으로 녹아 들어가는 탄소의 양을 계산해 낼 수 있었다.자연계에 존재하는 탄소는 ... ...
지구과학- 운석충돌로 생성 직경 200km 넘는 것도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달을 보다 친숙하고 신비스런 존재로 남게 하도록 하자.갈릴레이와 달1609년 파노바
대학
수학교수였던 갈릴레이는 네덜란드 사람이 유리를 갈아서 만든 기구를 이용해 먼 곳에 있는 물체를 가까이 볼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곧 배율이 33배가 되는 정교한 천체 망원경을 만들었다. 당시 망원경은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어디까지 흘러가게 될지는 카오스의 리듬처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록펠러
대학
교수이자 뉴욕학술원 이사인 하인스 페이겔스는 그 중요성에 대해 "이 복잡성의 과학(카오스이론 포함)의 도전을 받아들여 이를 지배해서 그 지식을 새로운 산물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사회조직을 형성할 수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경향은 한국인의 것과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그림1). 이런 사실은 현대 한국·일본의
대학
생들은 상안이 크고 중안이 길고 하안이 짧은 형의 얼굴을 미인형으로 보고 있으나, 하안이 큰 얼굴에 대해서는 별로 호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런 세 타입 간의 형태구성에 나타나는 수량적 ... ...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1. 지상 800㎞ 서 본 한반 도우리별 2호의 지표면촬영카메라는 2백m를 한점으로 인식한다. 비록 성능은 과학위성인 스폿의 카메라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이를 운용하는 기술은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있다.요즘은 사방에서 환경관측위성 자원탐사위성 기상위성 등 위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이 자주 들 ... ...
근시교정 엑시머레이저 수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치료하는 병원도 있다고 한다. 주로 미국과 독일에서 들여오는 이 기기들은 본래
대학
병원의 '연구용'이라는 게 김재호 박사의 말. 그러나 일반 의원에도 많은 수가 도입돼 환자들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수술은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한쪽 눈씩 행한다. 수술 후 3-4일간은 수술부위가 쓰리고 ... ...
태양계의 원재료는 어디서부터 왔는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함유량이 적어(1/10000%) 정밀분석이 곤란하다. 최근호 '네이처'지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
대학
팀이 머치손 운석 미소입자에 포함된 탄소 질소 마그네슘에 대해 동위체 조성의 측정에 성공했다고 한다. 그 결과는 탄화규소와는 크게 달랐다.예를 들면 탄소동위체비(12C/13C)가 탄화규소에서는 40-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선보이고 있지만 외국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학
연구소 기업들이 연계되어 화상처리 혼돈제어 혼돈신경망 등 다양한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곧 혼돈이론을 이용한 가전제품들이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리아푸노프 지수단위 시간당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될까? 멀리 떨어진 은하에 있는 별들의 케페우스 변수를 알아냄으로써 캘리포니아 공과
대학
의 천문학자 제레미 모울드는 이 성운들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그보다 작은 목표는 내년 7월에 20여개의 핵을 가진 슈메이커-레비 혜성이 목성에 충돌하는 장면을 촬영하는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사라져버린 삽살개를 되찾아야 한다고 되풀이해서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자이자
대학
에 함께 재직하던 탁연빈 교수 등과 함께 60년대 중반 수년 동안 전국각지를 돌며 탐문한 끝에 삽살개 30여 마리를 찾아냈다.그는 이 삽살개들을 농장에서 키우면서 한동안 삽살개 보존에 힘썼다. 그러나 학교일과 ... ...
이전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