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북미산 들쥐의 짝짓기와 어버이로서의 행동은 메릴랜드 국립정신 건강연구소와 메릴랜드
대학
과학자들이 연구해왔다.실험용 생쥐들이나 일반 쥐들과는 달리 야생의 들쥐는 단혼(單婚)을 한다. 한번 어떤 수컷이 한 암놈과 짝을 지으면 수컷은 다른 수컷들, 심지어는 주변에 다가서는 암컷에게까지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변화를 직접 측정할 수가 없다.하지만 뜻이 있는 자에게 불가능은 없는 법. 미국 워싱턴
대학
의 케이(Qusy) 박사팀은 1992년 탄소의 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동위원소비(${ }^{13}$C/${ }^{12}$C의 비율)를 이용해 전체 대양으로 녹아 들어가는 탄소의 양을 계산해 낼 수 있었다.자연계에 존재하는 탄소는 ... ...
3. 로봇제작·기상예측·통신암호화 등 각분야에서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선보이고 있지만 외국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초보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대학
연구소 기업들이 연계되어 화상처리 혼돈제어 혼돈신경망 등 다양한 응용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곧 혼돈이론을 이용한 가전제품들이 쏟아져 나올 전망이다.*리아푸노프 지수단위 시간당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경향은 한국인의 것과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다(그림1). 이런 사실은 현대 한국·일본의
대학
생들은 상안이 크고 중안이 길고 하안이 짧은 형의 얼굴을 미인형으로 보고 있으나, 하안이 큰 얼굴에 대해서는 별로 호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이런 세 타입 간의 형태구성에 나타나는 수량적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사라져버린 삽살개를 되찾아야 한다고 되풀이해서 강조했다. 그러면서 제자이자
대학
에 함께 재직하던 탁연빈 교수 등과 함께 60년대 중반 수년 동안 전국각지를 돌며 탐문한 끝에 삽살개 30여 마리를 찾아냈다.그는 이 삽살개들을 농장에서 키우면서 한동안 삽살개 보존에 힘썼다. 그러나 학교일과 ... ...
반도체 레이저 장치로 암 조기치료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환자의 부담도 적은 반도체 레이저 치료장치가 일본 마쓰시다전기산업과 도쿄의과
대학
의 공동 연구로 개발됐다는 소식이다. 이 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보자. 먼저 환자의 체내에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발생시키는 물질을 정맥주입, 암세포를 모아둔다. 그리고는 환자에 파장 6백64㎚(나노미터), ... ...
탁상공론으로 끝난 최초의 발전용 원자로 계획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비롯, 세계 유명 핵물리학자들이 모이는 회합이 있었다. 이 회합에 참석했던 위스콘신
대학
교수인 다니엘은 온도가 높고 효율이 좋은 발전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로의 감속재로 산화베릴륨을 서야 한다고 주장했다.2차대전이 끝난 직후 다니엘은 원자폭탄을 제조하고 남은 우라늄233의 여분이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사진에 들어있는 13명 가운데 앞줄 한가운데 있는 필자와 그 왼쪽의 조성호 고려대 이과
대학
장 등 9명이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물리학교수로 있으니 외길을 걸어온 동기는 퍽 많은 셈이다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어디까지 흘러가게 될지는 카오스의 리듬처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록펠러
대학
교수이자 뉴욕학술원 이사인 하인스 페이겔스는 그 중요성에 대해 "이 복잡성의 과학(카오스이론 포함)의 도전을 받아들여 이를 지배해서 그 지식을 새로운 산물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사회조직을 형성할 수 ... ...
별 진화론 대폭 수정 돼야 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불과하기 때문이다. 중성자별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뉴욕
대학
의 제럴드 브라운과 코넬
대학
의 한스 베세는 "중성자별 대신에 블랙홀이 되었다"고 설명한다. 이들이 옳다면 고전적인 별의 진화 이론은 대폭 수정돼야 한다.표준이론에 따르면 태양질량의 8-30배인 별들은 자신의 핵연료를 다 소모하면 ... ...
이전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