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존재로 천대받았던 E=${mC}^{2}$을 일약 톱스타의 자리에 올려놓았다. 지금 미국이나 유럽의
대학
생들은 이 공식을 새겨넣은 티셔츠를 즐겨 입는다.이 논의에 대한 해석은 학자들마다 조금씩 다르다. E=${mC}^{2}$ 이 스포트라이트를 받기 전에 러더포드와 그의 공동연구자였던 프레더릭 소디는 이미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그동안 한 개인에 대한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조사했다. 그 가운데는 그림그리기의 경향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을 테스트해 본 결과 여기에서도 한국인의 대표적 세 얼굴, 즉 북방형 남방형 서남형이 각각 공통의 특징으로 그림 그리기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가모(假母)에게서 자란 새의 울 ... ...
X 염색체 가진 정자는 Y 염색체 가진 정자보다 크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남들이 전혀 주목하지 못한데 관심을 가진 학자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아들레이드
대학
병원의 쿠이와 매슈가 그들. 이들은 정자의 크기에 주목, 여성의 유전자를 가진 정자가 남성 유전자를 가진 정자보다 더 크다는 점을 발견했다. 과학지 '네이처'에 이들이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여성 유전자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다니며 활동 하기를 희망하는 새내기나 재학생들을 모집한다. 매주 일요일 4시 서강
대학
교 RA관 앞 벤치에서의 만남으로 별빛 동호회의 모임은 시작된다.■ 별과 사람들일반인들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 모임. 이 모임에서는 천체 관측의 기본부터 천체 사진촬영까지 아마추어 천문에 필요한 모든 것을 ... ...
자 웃읍시다, 여러분!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무엇일까? 이제 우리는 캘리포니아
대학
샌프란시스코 캠퍼스의 폴 에크만과 위스콘신
대학
의 리처드 데이비슨 등과 같은 심리학자들이 말하듯이 그것이 어떤 웃음인가를 안다.이들 연구자들은 인간들이 적어도 18종류의 웃음을 지을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 모든 웃음 중 하나만을 뺀 나머지는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말없는 실천가이기도 하다. 그는 과학자로서의 부귀와 명예를 마다하고 저명한 연구소나
대학
에 몸 담는 대신 외부와 격리된 자신만의 연구실에 틀어 박혔다. 또 그는 도시의 낭비적인 생활을 포기하고 대신 소박한 전원생활에 만족하였다.가이아 이론은 스스로 정원을 가꾸고 자전거를 타고 다니며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불행히도 PET시스템은 아직 한대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1994년 초 서울
대학
교병원에 PET설치가 확정되었으며 그 외에 2~3개 종합병원에서 PET 설치를 검토 중에 있다. PET가 도입되면 이를 계기로 우리나나의 핵의학이 국제핵의학을 선도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다.비파괴 검사에 ... ...
중절 태아의 난세포로 체외수정 성공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태아에서 끄집어낸 난세포에서 체외수정 성공.' 이는 지난 1월2일 밝혀진 영국 에딘버러
대학
의 연구결과다. 암컷쥐의 태아에서 난세포를 적출, 이를 성숙 배양시켜 체외수정에 성공했다는 내용이다.이 수정란은 다른 쥐의 자궁에 이식 돼 아직 태어나지 않은 태아의 자식이 탄생했다. 현재는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천분의 1초단위로 원소 양의 변화를 추적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도쿄
대학
나가미네 교수는 "뮤입자는 미량의 불순물에도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생물체의 불순물 분포나 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이상적인 입자다. 이를 의학 분야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뮤입자 ... ...
"화학조미료 주성분 MSG는 무해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또 하나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월 15일자 뉴사이언티스트지에 의하면 호주 서부 시드니
대학
의 화학자 레오나드 테라소프와 통계학자 마이클 켈리는 최근 아침 식사 전인 71명의 지원자에게 다량의 MSG를 복용시킨 결과, 15%의 피실험자만이 이상 증가를 나타냈을 뿐 대개는 MSG나 주스 등에 MSG를 ... ...
이전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879
다음
공지사항